지역자활센터협회 기관분석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9 14:18
본문
Download : 기관분석보고서.hwp
(2) 강원광역자활센터 및 지역자활센터 설치·운영
535-1648
사단법인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연혁
1) 복지간병인사업 - 수급자 및 저소득층 노인 대상으로 무료복지간병도우미 활동 - 전문 간병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간병교육 실시 - 일반 병원 및 가정이 환자를 대상 유료 간병활동
http://www.kscjahwal.or.kr
(5) 도내 지역자활센터 운영에 관한 조사, 연구사업
․박만호(삼척지역자활센터장), 김상도(홍천지역자활센터장)
765-0945
12월 - 2003년 제4차 운영위원회
253-4575
삼척지역자활센터
지역에 필요한 조사연구사업, 정책연구 및 개발, 사회저변에서 필요하거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탁받은 사업의 추진을 통해 사회공헌 하는 면도 크다고 할 수 있다.
양양지역자활센터
4) 음식재활용사업 - 음식물 쓰레기를 수집, 운반 - 사료와 퇴비로 가공, 자활농장에 가축먹이로 활용 - 축산농가의 비용절감과 깨끗한 생활environment을 조성에 效果적인 사업
- 제위원회
․정책위원회 : 김진욱(강릉지역자활센터 실장)
(3) 보조금(政府보조금)
예산의 대부분이 기관회원들이 요구하는 교육program 개설과 행사추진을 통해 기관회원의 결속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지역조사연구 등에도 상당부문 할애하고 있다.
1) 기관 설립동기 및 설립목적
2003년
3) 실습부서/팀 : 협회 사무국
인제지역자활센터
09월 - 제2기 참여자 자활학교
10월 - 제2회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자활한마당
http://www.ccjh.or.kr
09월 - 강원자활후견기관 워크샵 및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결성
09월 - 제1회 강원도 자활사업 민 · 관 연찬회
주민번호
홍천지역자활센터
강원지역 저소득 주민의 자활자립을 위한 사업과 강원지역 지역자활센터의 균형발전을 통한 생산/협동/나눔의 이념과 정신을 기반으로 인간의 가치가 경제보다 우선하는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05월 - 강원도 광역자활센터 위탁운영 협정체결
홍천지역자활센터
8) 지역특화사업 - 지역特性을 활용한 사업 - 농촌지역에서는 영농상품(열무, 배추, 상치, 메론, 수박, 토마토 등) 재배․유통 - 어촌에서는 건어물(오징어, 다시마, 굴비 등)을 유통 - 화훼상품(꽃, 분재 등)을 재배․유통 - 영림사업(자활영림단, 도시림조성 등)도 추진
1999년
1) 클라이언트 및 대상지역
정선지역자활센터
예산은 政府회계에 준하여 수입, 지출처리를 하고 있으며, 후원 및 지원 사항에 마주향하여 는 사안별 별도 언급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0월 - 2003년 제3차 운영위원회
3) 청소사업 - 공익건물에 대한 청소용역 - 쓸고 닦는 단순서비스를 넘어 첨단 청소장비로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
11월 - 2003년 제4차 운영위원회
10월 - 제5회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자활한마당
2) 예산, 후원 및 지원사항
․사업위원장 : 정낙찬(횡성지역자활센터 실장)
08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전체회원 수련회
332-5432
http://www.동해자활.kr/
사단법인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연혁
(3) 회원수련회 : 회원 간 친목도모와 교류 활성화를 꾀하고, 회원들에게 쉼과 회복을 통한 재충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현장에서의 활발한 활동을 촉진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강원도 강릉시 원대로 26번길 31
(7) 자활자립 정책연구 및 개발
3. 기관의 주요사업 및 program
․김선형(평창지역자활센터장), 이상중(원주지역자활센터장), 이명숙(강릉지역자활센터장), 진용철(정선지역자활센터 실장)
횡성군 횡성읍 중앙로 30
2009년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는 강원지역 저소득 주민의 자활자립을 위한 사업과 강원 도내 지역자활센터의 균형발전을 꾀하고, 생산·협동·나눔의 이념과 정신을 기반으로 인간의 가치가 경제보다 우선하는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4) 도내 지역자활센터 직원의 교육 및 훈련
(4) 사업단 네트워크 지원 : 지역자활센터 간 네트워킹을 통해 자활사업을 보다 발전시키기 위함이며, 강원지역에는 간병사업단․집수리사업단․재활용사업단․청소사업단․장애통합교육보조원사업단․영농사업단․급식사업단이 네트워크를 통해 사업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10월 - 제1회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자활한마당
09월 - 제2기 실무자 자활학교
373-2583
(12) 부설기관 설치·운영
16개 지역자활센터가 지역별, 업종별 특화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program 개발 보급 전반에 대한 고민과 과제課題해결을 위해 각각의 의견과 example(사례) 를 모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공동사업을 통해 협동과 단합을 통한 결실을 추구하고 있었으며, 지역자활센터 실무자는 물론 참여자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을 통해 보다 탄탄한 사업기반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강원도의 지원을 통해 해외연수를 진행함으로써 선진국의 사회복지 및 자활사업을 체험함으로써 강원도적 자활사업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만들고 있습니다.
원주시 학성동 갈머리 2길 31
574-1658
2009년
예산의 대부분이 기관회원들이 요구하는 교육program 개설과 행사추진을 통해 기관회원의 결속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지역조사연구 등에도 상당부문 할애하고 있다.
(7)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훈련 : 자활 실무자들이 자활의 정체성을 스스로 확립하고, 자기 리더십과 올바른 성품을 개발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01월 - 2003년 임시 운영위원회
6) 외식사업 - 무의탁저소득가구, 소년소녀가정, 결식아동 등을 대상으로 주식․부식을 지원하는 사업 - 출장뷔페, 단체도시락을 제조․판매 - 각종 반찬류와 제과제課題빵사업도 수행
운영경비를 충당하기 위하여 강원도지사의 승인을 받아 수익사업을 할 수 있으며, 수익사업을 경영하기 위하여 회장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관리자 또는 책임자를 임명할 수 있다. 매 회계연도는 政府의 회계연도에 따르고 있으며, 회계연도 결산 잉여금은 차입금 상환 또는 다음 회계연도에 이월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사회의 의결에 의하여 특정한 사업을 위한 기금으로 적립할 수 있다. 사업단 네트워크에서는 직업능력향상 교육 및 인성교육, 수련회등의 공동사업을 진행합니다. 또한 강원도의 지원을 통해 해외연수를 진행함으로써 선진국의 사회복지 및 자활사업을 체험함으로써 강원도적 자활사업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만들고 있습니다.
화천군 화천읍 상승로 8길 15-23
인제지역자활센터
기관分析(분석)보고서
05월 - 강원도직무연찬회
01월 - 2008년도 정기총회 및 2007년도 사업보고회
03월 - 2002년 제1차 운영위원회
원주지역자활센터
사회복지현장실습 강원도지역자활협회 기관분석보고서
중앙政府와 지방자치단체의 열악한 지원체계에도 불구 긍정적인 이념과 가치추구를 위해 취약계층이라는 사회약자에 대한 고민과 배려를 통해 함께 나누고 살아갈 수 있다는 사회윤리적 가치실현을 몸소 실천하는 기관 이였으며, 짧지만 많은 경험과 체험을 통해 삶과 가치에 대한 정립의 기회를 제공한 기관으로 기억된다.
(2) 예산, 후원 및 지원사항
속초지역자활센터
홍천군 홍천읍 너브네길 123
07월 - 제2회 강원도 자활사업 민·관연찬회
09월 - 태백자활지원센터 지정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68 청령프라자 3층
553-8888
12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정기직원교육 및 사업보고회
10월 - 제1회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자활한마당
08월 - 전국자활후견기관 소장단회의 시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창립 논의
04월 - 제5회 강원도 자활사업 민·관연찬회
10월 – 제6회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자활한마당
자활사업은 소득이 최저생계비에 미달하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가운데 근로능력이 있는 사람이 일을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업이며, 2000년 10월부터 시행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에서 보장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과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업과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592-4115
예산은 회원으로부터 받은 가입비, 회비, 찬조금,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 기본자산으로 발생하는 과실, 수익사업의 수익금과 기타의 수입으로 충당하고 있다.
10월 - 제2회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자활한마당
(3) 도내 지역자활센터 협의에 의한 공동사업 집행 및 조정
10월 - 제4회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자활한마당
2001년
(11) 자활정책개발 및 자활포럼 : 강원도적 자활사업의 발굴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 및 개발을 통해 지역적 特性에 맞는 자활사업 방향을 제시하고, 법적․제도적 연건 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05월 - 2003년 제2차 운영위원회
12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정기직원교육 및 사업보고회
http://www.동해자활.kr/
태백지역자활센터
2) 집수리사업 - 지급되는 주거급여 중 자가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현물급여사업 참여 - 건설관련 전문교육기관 통한 기술교육 실시
553-8888
주 소
(6) 참여자 직업능력 향상 및 인성교육 : 직업능력 향상 교육을 통해 자활사업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 리더십․자기개발․자활비전 등의 교육을 통해 가기 존중감 형성 및 자활사업 운영의 팀워크를 향상시키고 자활사업의 가능성과 희망을 갖도록 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05월 - 제3기 참여자 자활학교
(11) 자활정책개발 및 자활포럼 : 강원도적 자활사업의 발굴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 및 개발을 통해 지역적 特性에 맞는 자활사업 방향을 제시하고, 법적․제도적 연건 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인제군 인제읍 비봉로 43번길 100
08월 - 2002년 제3차 운영위원회
(13) 그 밖에 본 회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7) 자활자립 정책연구 및 개발
682-9117
5. 지역 내 타 기관들과의 연계상황과 활동
09월 - 제1회 강원도 자활사업 민 · 관 연찬회
700413 – 2338628
2011년
04월 – 2010년 민관 포럼 및 제7회 강원도 자활사업 연찬회
09월 - 2007년도 임시총회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로 명칭변경)
08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전체회원 수련회
10월 - 2003년 제3차 운영위원회
04월 - 강원도 가사간병지원센터 위탁운영 협정체결
기관의 행정구조는 강원 도내 16개 지역자활센터를 기반으로 정책, 교육, 사업 3개로 특화된 분과위원회를 통해 지역이 갖고 있는 어려운 점들에 대해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별 분과위원회를 갖고 있으며, 청소, 재활용, 주거복지, 유통, 영농, 가사간병 등 업종별 규모화된 네트워크의 설립 및 운영을 통해 보다 세분화된 과제課題와 사업을 통해 지역이나 자활사업단 및 자활기업(구 자활공동체)가 갖고 있는 대내외적인 문제해결에 효율적인 대응을 하고 있는 행정적인 구조를 갖고 있어, 지역과 협회의 유기적인 소통과 협의를 통해 과제課題와 사업에 대해 보다 신속한 조사와 적용이 가능하다.
12월 - 고성자활후견기관, 인제자활후견기관, 평창자활후견기관 지정
2007년
(8) 자활사업 전반에 대한 대 도민 계몽 및 홍보
- 협 회 장 : 전원표(영월지역자활센터장:1인)
09월 - 제1기 실무자 자활학교
10월 - 제5회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자활한마당
평창군 평창읍 노성로 129
인제지역자활센터
횡성지역자활센터
- 부회장단 : 부회장 4인(지역자활센터장중 3인, 1인은 대표실장)
12월 - 2003년 제4차 운영위원회
동해지역자활센터
양양지역자활센터
1) 복지간병인사업 - 수급자 및 저소득층 노인 대상으로 무료복지간병도우미 활동 - 전문 간병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간병교육 실시 - 일반 병원 및 가정이 환자를 대상 유료 간병활동
2002년
- 감사 : 2인(재무회계감사는 외부감사로 구성)
253-4575
강릉지역자활센터
(사)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는 강원 도내 16개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의 균형발전을 위한 지원과 정책연구 및 홍보활동 등으로 자활사업 활성화를 지원하고, 생산, 협동, 나눔의 이념과 정신을 기반으로 인간의 가치가 경제보다 우선하는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하는 취약계층의 자활자립을 지원하는 사회서비스선도 기관입니다.
홍천군 홍천읍 너브네길 123
춘천지역자활센터
574-1658
평창지역자활센터
03월 - 2003년 제1차 운영위원회
영월지역자활센터
05월 - 2003년 제2차 운영위원회
1) 행정구조
태백지역자활센터
횡성군 횡성읍 중앙로 30
◈ 진행 중인 program
07월 - 제2회 강원도 자활사업 민·관연찬회
지역에 필요한 조사연구사업, 정책연구 및 개발, 사회저변에서 필요하거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탁받은 사업의 추진을 통해 사회공헌 하는 면도 크다고 할 수 있다. 일반 영리업체라면 영업매출이나 영리를 증대하기위해 기관의 이념과 역량을 배분하고 집중하겠지만, 아름다운 소통이라는 가치와 목표로 보다 근본적인 사회문제의 해결에 기관의 역할과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일반 영리업체라면 영업매출이나 영리를 증대하기위해 기관의 이념과 역량을 배분하고 집중하겠지만, 아름다운 소통이라는 가치와 목표로 보다 근본적인 사회문제의 해결에 기관의 역할과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6) 외식사업 - 무의탁저소득가구, 소년소녀가정, 결식아동 등을 대상으로 주식․부식을 지원하는 사업 - 출장뷔페, 단체도시락을 제조․판매 - 각종 반찬류와 제과제課題빵사업도 수행
- 감사 : 2인(재무회계감사는 외부감사로 구성)
http://www.gnjahwal.or.kr
2002년
4. 기관의 행정사항
- 회의구성 : 이사회, 집행위원회, 제위원회, 실장단 회의로 구성
- 이 사 회 : 30인 이내로 구성(회장, 부회장 4인 포함)
05월 - 제3기 참여자 자활학교
횡성지역자활센터
(4) 후원금 등
2005년
강릉
10월 - 2001년 제1차 운영위원회
- 회의구성 : 이사회, 집행위원회, 제위원회, 실장단 회의로 구성
11월 - 2001년 제1차 이사회 및 자문위원 상견례
- 이 사 회 : 30인 이내로 구성(회장, 부회장 4인 포함)
1. 기관의 歷史(역사)
10월 - 제3회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자활한마당
다.
지역 내 소재하고 있는 한림대, 강원대, 상지대, 농업기술원, 사회적기업협의회, 기업 및 政府 공공기관과 공동사업 및 연대 사업 모색을 통해 부족한 인프라를 확충하고, 공동사업 또는 연대사업의 기반구축 및 토대마련을 통해 자활사업이 갖고 있는 부족한 자원의 보완 또는 보강은 지역자활센터와 지역주민이 자활사업 추진과 참여를 위한 또 다른 긍정적인 힘이 되고 있다.
(6) 도내 지역자활센터 운영에 관한 조언 및 권고
8) 지역특화사업 - 지역特性을 활용한 사업 - 농촌지역에서는 영농상품(열무, 배추, 상치, 메론, 수박, 토마토 등) 재배․유통 - 어촌에서는 건어물(오징어, 다시마, 굴비 등)을 유통 - 화훼상품(꽃, 분재 등)을 재배․유통 - 영림사업(자활영림단, 도시림조성 등)도 추진
04월 - 강원도 가사간병지원센터 위탁운영 협정체결
(사)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는 강원도내 18개 시군 빈곤취약주민을 위한 각종 네트워크와 사업지원을 통해 지역에서 갖고 있는 어려움을 광역단위의 논의와 협의를 통해 문제화하고 해결하기위해 네트워크를 조직하고, 운영하며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3) 보조금(政府보조금)
- 사 무 국 : 안미나(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사무국장
373-2583
433-0046
08월 - 전국자활후견기관 소장단회의 시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창립 논의
http://www.tbjahwal.or.kr
5. 지역내 타 기관들과의 연계상황과 활동
- 회원기관명 : 강원지역 16개 지역자활센터
01월 - 화천자활후견기관 지정
(8) 사회복지 및 자활사업 선진지 연수 : 선진 사회복지 및 사회단체 연수를 통해 자활사업에 대한 전망을 마련하고 중견실무자의 소진 예방을 통해 자활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실무력을 증진시키고자 진행됩니다.
속초시 청초호반로 296
․교육위원장 : 성기훈(화천지역자활센터 실장)
(2) 자활한마당 : 자활사업을 위해 노력하고 수고하는 참여주민들이 다 같이 한자리에 모여서 서로에 대한 믿음으로 격려하고, 자활사업을 통한 새로운 희망과 자활사업을 통한 새로운 희망과 자활사업 참여의 자긍심을 높이고 공동의 연계 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매년 10월에 진행합니다.
463-0909
2012년 4월 13일
http://www.gnjahwal.or.kr
433-0046
http://www.yyjahwal.kr
속초시 청초호반로 296
01월 - 2008년도 정기총회 및 2007년도 사업보고회
평창지역자활센터
04월 - 양양자활후견기관, 횡성자활후견기관 지정
홍천지역자활센터
(사)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는 강원 도내 18개시군. 빈곤취약주민을 위한 각종 네트워크와 사업지원을 통해 지역에서 갖고 있는 어려움을 광역단위의 논의와 협의를 통해 문제화하고 해결하기위해 네트워크를 조직하고, 운영하며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07월 - 사단법인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창립총회
양양군 남문로 35
08월 - 삼척자활후견기관 지정
삼척지역자활센터
07월 - 영월자활후견기관 지정
- 협 회 장 : 전원표(영월지역자활센터장:1인)
․박만호(삼척지역자활센터장), 김상도(홍천지역자활센터장)
(10) 민관연찬회 : 정기적인 민․관의 만남을 통해 도내 자활지원사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민․관의 원활한 자활지원 협력체계를 구축하며 자활사업 활성화를 위한 의견을 공유하고 토론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2005년
02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제3차 정기총회 및 2002년 사업보고회
10월 – 제6회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자활한마당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는 강원지역 저소득 주민의 자활자립을 위한 사업과 강원도내 지역자활센터의 균형발전을 꾀하고, 생산·협동·나눔의 이념과 정신을 기반으로 인간의 가치가 경제보다 우선하는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07월 - 영월자활후견기관 지정
센터명
http://www.pccsw.or.kr
3) 서비스 전달체계
화천지역자활센터
정선지역자활센터
1) 행정구조
(5) 도내 지역자활센터 운영에 관한 조사, 연구사업
고성지역자활센터
01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제5차 정기총회 및 2004년 사업보고회
10월 - 강원자활 10주년 기념 대 축제
화천지역자활센터
01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제2차 정기총회 및 2001년 사업보고회
태백시 태백로 398-9
http://www.kscjahwal.or.kr
원주지역자활센터
(2) 강원광역자활센터 및 지역자활센터 설치·운영
2002년
09월 - 아이들과 未來(미래) 지원 쉼과 회복을 위한 연수 진행
․교육위원장 : 성기훈(화천지역자활센터 실장)
운영경비를 충당하기 위하여 강원도지사의 승인을 받아 수익사업을 할 수 있으며, 수익사업을 경영하기 위하여 회장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관리자 또는 책임자를 임명할 수 있다.
2002년
01월 – 2009년 사업보고회 및 2010년도 정기총회
센터명
7) 공예사업 - 사회적 자원을 활용하여 봉제공예, 짚풀공예, 목공예, 한지공예, 유리공예, 숯공예 등의 공예품을 제작 및 판매 - 천연염색천을 이용한 다양한 생활소품도 제작․판매
http://www.gs1004.com/
(10) 민관연찬회 : 정기적인 민․관의 만남을 통해 도내 자활지원사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민․관의 원활한 자활지원 협력체계를 구축하며 자활사업 활성화를 위한 의견을 공유하고 토론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춘천시 중앙로 131 市民복지회관 6층
주민번호
강원도 18개시군. 전 지역 대상 16개 지역자활센터(철원, 양구 제외)가 설립 운영되고 있으며, 취약계층의 자립자활을 위한 지역별 업종별 각종 특화사업 추진을 통하여 자활사업단 및 자활기업(구 자활공동체)의 양성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 수행하고 있다.
2. 기관의 목적
2012년 입니다. 노인돌보미․장애인활동보조․산모신생아도우미 사업 등 돌봄사회서비스 영역과 깨끗한 학교만들기사업 등 사회서비스사업을 광역화하여 자활사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실습생
순서
동해지역자활센터
http://www.tbjahwal.or.kr
10월 - 제3회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자활한마당
04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창립총회
강원도광역자활센터
양양지역자활센터
05월 - 2002년 제2차 운영위원회
08월 - 동해자활후견기관, 원주자활후견기관 지정
자활사업은 소득이 최저생계비에 미달하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가운데 근로능력이 있는 사람이 일을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업이며, 2000년 10월부터 시행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에서 보장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과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업과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전화번호
4) 음식재활용사업 - 음식물 쓰레기를 수집, 운반 - 사료와 퇴비로 가공, 자활농장에 가축먹이로 활용 - 축산농가의 비용절감과 깨끗한 생활environment을 조성에 效果적인 사업
실습생
(1) 회비수입 : 기관회비, 개인회비, 이사회비
(1) 회비수입 : 기관회비, 개인회비, 이사회비
04월 - 양양자활후견기관, 횡성자활후견기관 지정
주 소
3) 실습부서/팀 : 협회 사무국
http://www.pccsw.or.kr
2012년
04월 - 제5회 강원도 자활사업 민·관연찬회
01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제2차 정기총회 및 2001년 사업보고회
2008년
4) 기관의 행정구조와 예산 사용 및 후원에 대한 실습생의 평가
강릉
동해지역자활센터
중앙政府와 지방자치단체의 여락한 지원체계에도 불구 긍정적인 이념과 가치추구를 위해 취약계층이라는 사회약자에 대한 고민과 배려를 통해 함께 나누고 살아갈 수 있다는 사회윤리적 가치실현을 몸소 실천하는 기관이였으며, 짧지만 많은 경험과 체험을 통해 삶과 가치에 대한 정립의 기회를 제공한 기관으로 기억된다.
태백지역자활센터
고성군 간성읍 쐬롱골길 16
16개 지역자활센터 기관회비, 회원회비, 이사회 회비를 통해 협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별도 후원 및 지원이 별도 책정되거나 지원되고 있는 상황은 아니며, 지역자활센터가 갖고 있는 지역 내 인프라 및 자원을 공유하고 효율화 할 수 있도록 공동사업과 네트워크를 통한 사업지원에 집중하고 있다. 매 회계연도는 政府의 회계연도에 따르고 있으며, 회계연도 결산 잉여금은 차입금 상환 또는 다음 회계연도에 이월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사회의 의결에 의하여 특정한 사업을 위한 기금으로 적립할 수 있다.
01월 – 2008년 사업보고회 및 2009년도 정기총회
삼척지역자활센터
강원도 18개 시군 전지역 대상 16개 지역자활센터(철원, 양구 제외)가 설립 운영되고 있으며, 취약계층의 자립자활을 위한 지역별 업종별 각종 특화사업 추진을 통하여 자활사업단 및 자활기업(구 자활공동체)의 양성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 수행하고 있다.
(6) 참여자 직업능력 향상 및 인성교육 : 직업능력 향상 교육을 통해 자활사업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 리더십․자기개발․자활비전 등의 교육을 통해 가기 존중감 형성 및 자활사업 운영의 팀워크를 향상시키고 자활사업의 가능성과 희망을 갖도록 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1) 행정구조
예산은 政府회계에 준하여 수입, 지출처리를 하고 있으며, 후원 및 지원 사항에 마주향하여 는 사안별 별도 언급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노인돌보미․장애인활동보조․산모신생아도우미 사업 등 돌봄사회서비스 영역과 깨끗한 학교만들기사업 등 사회서비스사업을 광역화하여 자활사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332-5432
정선군 남면 무릉1로 56
04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창립총회
(11) 평생교육사업 수행
(3) 도내 지역자활센터 협의에 의한 공동사업 집행 및 조정
화천군 화천읍 상승로 8길 15-23
01월 - 속초자활후견기관 지정
평창지역자활센터
09월 - 제2기 실무자 자활학교
http://www.ywjahwal.or.kr
http://www.yyjahwal.kr
동해지역자활센터
강원지역 저소득 주민의 자활자립을 위한 사업과 강원지역 지역자활센터의 균형발전을 통한 생산/협동/나눔의 이념과 정신을 기반으로 인간의 가치가 경제보다 우선하는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사업위원장 : 정낙찬(횡성지역자활센터 실장)
08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수련회
춘천지역자활센터
․김선형(평창지역자활센터장), 이상중(원주지역자활센터장), 이명숙(강릉지역자활센터장), 진용철(정선지역자활센터 실장)
10월 - 강원자활 10주년 기념 대 축제
태백지역자활센터
16개 지역자활센터가 지역별, 업종별 특화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program 개발 보급 전반에 대한 고민과 과제課題해결을 위해 각각의 의견과 example(사례) 를 모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공동사업을 통해 협동과 단합을 통한 결실을 추구하고 있었으며, 지역자활센터 실무자는 물론 참여자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을 통해 보다 탄탄한 사업기반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2012년 자료입니다.
양양군 남문로 35
4) 기관의 서비스대상 및 주요사업에 대한 실습생의 평가
기관의 행정구조는 강원도내 16개 지역자활센터를 기반으로 정책, 교육, 사업 3개로 특화된 분과위원회를 통해 지역이 갖고 있는 어려운 점들에 대해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별 분과위원회를 갖고 있으며, 청소, 재활용, 주거복지, 유통, 영농, 가사간병 등 업종별 규모화된 네트워크의 설립 및 운영을 통해 보다 세분화된 과제課題와 사업을 통해 지역이나 자활사업단 및 자활기업(구 자활공동체)가 갖고 있는 대내외적인 문제해결에 효율적인 대응을 하고 있는 행정적인 구조를 갖고 있어, 지역과 협회의 유기적인 소통과 협의를 통해 과제課題와 사업에 대해 보다 신속한 조사와 적용이 가능하다.
(사)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는 강원도내 16개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의 균형발전을 위한 지원과 정책연구 및 홍보활동 등으로 자활사업 활성화를 지원하고, 생산, 협동, 나눔의 이념과 정신을 기반으로 인간의 가치가 경제보다 우선하는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하는 취약계층의 자활자립을 지원하는 사회서비스선도 기관입니다. 수익사업에서 얻어지는 순이익은 본 회의 목적사업에 충당하거나 이사회의 의결에 의거 특정한 기금으로 적립할 수 있다. 이밖에도 평생교육사업 수행, 부설기관 설치 및 운영, 요양보호사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 설립 및 운영, 자활참여자가 생산한 농축수산물의 유통 및 가공사업에도 관심과 전략의 수립을 위해 열악한 자활현장의 고민들을 해결하고 있었다. 사업단 네트워크에서는 직업능력향상 교육 및 인성교육, 수련회 등의 공동사업을 진행합니다. 수익사업에서 얻어지는 순이익은 본 회의 목적사업에 충당하거나 이사회의 의결에 의거 특정한 기금으로 적립할 수 있다.
(9)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 및 위탁받은 사업
01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제4차 정기총회 및 2003년 사업보고회
http://www.sjahwal.com
평창군 평창읍 노성로 129
(2) 예산, 후원 및 지원사항
06월 - 제3회 강원도 자활사업 민·관연찬회
10월 - 사단법인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설립 허가
1) 클라이언트 및 대상지역
인제군 인제읍 비봉로 43번길 100
지역자활센터
05월 - 강원도직무연찬회
673-4848
6. 전반적인 기관에 대한 인상과 평가
09월 - 2007년도 임시총회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로 명칭변경)
2010년
765-0945
08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수련회
09월 - 태백자활지원센터 지정
고성지역자활센터
영월지역자활센터
(9)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 및 위탁받은 사업
(1) 자활사업 및 program 개발 보급
횡성지역자활센터
03월 - 2003년 제1차 운영위원회
(6) 도내 지역자활센터 운영에 관한 조언 및 권고
05월 - 강원도 광역자활센터 위탁운영 협정체결
(5) 광歷史(역사)업기획 및 지원 : 강원도적 자활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광歷史(역사)업을 기획하고 지원하고 있습니다.
서강전문학교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위한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기관분석보고서입니다.
09월 - 아이들과 未來(미래) 지원 쉼과 회복을 위한 연수 진행
2011년
09월 - 제1기 실무자 자활학교
08월 - 삼척자활후견기관 지정
642-4100
평창지역자활센터
영월지역자활센터
07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신규기관 실무자교육
09월 - 강원자활후견기관 워크숍 및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결성
08월 - 강릉자활후견기관, 정선자활후견기관, 춘천자활후견기관 지정
673-4848
3) 청소사업 - 공익건물에 대한 청소용역 - 쓸고 닦는 단순서비스를 넘어 첨단 청소장비로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
01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제4차 정기총회 및 2003년 사업보고회
지역자활센터
(1) 사업보고회 및 정기총회 : 한 해 동안 진행해 온 사업을 공유하고 평가하면서 차기년도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나아가 자활사업의 중장기적인 발전 전망을 제시하기 위해 매년 1월에 진행합니다.
10월 - 2001년 제1차 운영위원회
(3) 회원수련회 : 회원 간 친목도모와 교류 활성화를 꾀하고, 회원들에게 쉼과 회복을 통한 재충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현장에서의 활발한 활동을 촉진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07월 - 사단법인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창립총회
11월 - 2001년 제1차 이사회 및 자문위원 상견례
642-4100
08월 - 동해자활후견기관, 원주자활후견기관 지정
동해시 발한로 211호
6. 전반적인 기관에 대한 인상과 평가
(12) 자활아카데미 : 정책적․제도적 현안과 자활사업의 당면과제課題를 함께 토론하고 고민함으로써 지歷史(역사)회 속에서 사회적일자리 창출 및 사회서비스 제공을 통해, 자활사업을 지역복지의 한 영역으로써 올곧게 자리매김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습니다.
05월 - 2002년 제2차 운영위원회
5) 폐자원재활용사업 - 폐가전제품, 폐컴퓨터, 헌옷, 공병 등을 수거, 분리, 판매 통해 자원의 효율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는 사업 - 재활용사업 전반에 대한 교육을 실시
- 제위원회
동해시 발한로 211호
(7)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훈련 : 자활 실무자들이 자활의 정체성을 스스로 확립하고, 자기 리더십과 올바른 성품을 개발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강원도광역자활센터/희망일자리본부)
2) 기관사업의 歷史(역사)적 변천
02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제3차 정기총회 및 2002년 사업보고회
11월 - 2003년 제4차 운영위원회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003년
원주시 학성동 갈머리 2길 31
정선군 남면 무릉1로 56
2006년
원주지역자활센터
http://www.jsjahwal.or.kr
횡성지역자활센터
(12) 부설기관 설치·운영
12월 - 고성자활후견기관, 인제자활후견기관, 평창자활후견기관 지정
홍천지역자활센터
화천지역자활센터
01월 - 2010년 사업보고회 및 2011년도 정기총회
전화번호
실습기관
http://www.gs1004.com/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68 청령프라자 3층
영월지역자활센터
01월 – 2011년 사업보고회 및 2012년도 정기총회
08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수련회
01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제5차 정기총회 및 2004년 사업보고회
2001년
삼척지역자활센터
삼척시 남양동 오십천로 448
10월 - 사단법인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설립 허가
(사)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http://www.ywjahwal.or.kr
(2) 자활한마당 : 자활사업을 위해 노력하고 수고하는 참여주민들이 다 같이 한자리에 모여서 서로에 대한 믿음으로 격려하고, 자활사업을 통한 새로운 희망과 자활사업을 통한 새로운 희망과 자활사업 참여의 자긍심을 높이고 공동의 연계 사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매년 10월에 진행합니다.
인제지역자활센터
2) 기관사업의 歷史(역사)적 변천
정선지역자활센터
636-2891
01월 - 2007년도 정기총회 및 2006년도 사업보고회
(9) 교육실무자 교육 : 교육실무자의 전문성 확보를 통해 자활 교육사업의 활성화 및 전문화를 모색하고, 이를 통한 자활의 정체성 확립을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실습기관
서강전문학교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위한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기관분석보고서입니다.
01월 – 2011년 사업보고회 및 2012년도 정기총회
강원도광역자활센터
08월 - 2002년 제3차 운영위원회
홈페이지
4) 기관의 행정구조와 예산 사용 및 후원에 대한 실습생의 평가
2006년
http://www.jsjahwal.or.kr
지역자활센터협회 기관분석보고서
2) 주요사업
춘천지역자활센터
10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소장단과 강원도의회 교육사회위원회 간담회
16개 지역자활센터 기관회비, 회원회비, 이사회 회비를 통해 협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별도 후원 및 지원이 별도 책정되거나 지원되고 있는 상황은 아니며, 지역자활센터가 갖고 있는 지역 내 인프라 및 자원을 공유하고 효율화 할 수 있도록 공동사업과 네트워크를 통한 사업지원에 집중하고 있다.
2007년
(8) 자활사업 전반에 대한 대 도민 계몽 및 홍보
(사)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636-2891
설명
속초지역자활센터
2008년
3. 기관의 주요사업 및 program
지역내 소재하고 있는 한림대, 강원대, 상지대, 농업기술원, 사회적기업협의회, 기업 및 政府 공공기관과 공동사업 및 연대 사업 모색을 통해 부족한 인프라를 확충하고, 공동사업 또는 연대사업의 기반구축 및 토대마련을 통해 자활사업이 갖고 있는 부족한 자원의 보완 또는 보강은 지역자활센터와 지역주민이 자활사업 추진과 참여를 위한 또 다른 긍정적인 힘이 되고 있다.
고성지역자활센터
(8) 사회복지 및 자활사업 선진지 연수 : 선진 사회복지 및 사회단체 연수를 통해 자활사업에 대한 전망을 마련하고 중견실무자의 소진 예방을 통해 자활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실무력을 증진시키고자 진행됩니다.
(4) 후원금 등
-
01월 - 화천자활후견기관 지정
01월 – 2009년 사업보고회 및 2010년도 정기총회
(10) 지역주민에 필요한 기초교육과 교양교육, 직업·기술·전문교육 및 건강과 보건교육,
10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소장단과 강원도의회 교육사회위원회 간담회
김 종 미
08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수련회
463-0909
2012년 4월 13일
예산은 회원으로부터 받은 가입비, 회비, 찬조금,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 기본자산으로 발생하는 과실, 수익사업의 수익금과 기타의 수입으로 충당하고 있다.
제 출 일
04월 – 2010년 민관 포럼 및 제7회 강원도 자활사업 연찬회
(2) 기관부담금
03월 – 2009년 민관 포럼 및 제6차 강원도 자활사업 연찬회
05월 - 제4회 강원도 자활사업 민·관연찬회
2000년
442-0400
592-4115
345-7131
고성군 간성읍 쐬롱골길 16
강원도 강릉시 원대로 26번길 31
1) 기관 설립동기 및 설립목적
홈페이지
원주지역자활센터
기관分析(분석)보고서
2004년
682-9117
03월 – 2009년 민관 포럼 및 제6차 강원도 자활사업 연찬회
(1) 자활사업 및 program 개발 보급
12월 - 강원자활지원사업 워크샵
․정책위원회 : 김진욱(강릉지역자활센터 실장)
춘천시 중앙로 131 市民복지회관 6층
속초지역자활센터
양양지역자활센터
01월 - 속초자활후견기관 지정
12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간병사업 사업보고회
4) 기관의 서비스대상 및 주요사업에 대한 실습생의 평가
05월 - 제4회 강원도 자활사업 민·관연찬회
- 회원기관명 : 강원지역 16개 지역자활센터
01월 – 2008년 사업보고회 및 2009년도 정기총회
01월 - 2006년도 정기총회 및 2005년도 사업보고회
삼척시 남양동 오십천로 448
(5) 광歷史(역사)업기획 및 지원 : 강원도적 자활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광歷史(역사)업을 기획하고 지원하고 있습니다.
화천지역자활센터
03월 - 2002년 제1차 운영위원회
지歷史(역사)회 교육 등 기타 학교 교육 이외의 조직적인 교육사업
3) 서비스 전달체계
태백시 태백로 398-9
08월 - 강릉자활후견기관, 정선자활후견기관, 춘천자활후견기관 지정
12월 - 강원자활지원사업 워크숍
5) 폐자원재활용사업 - 폐가전제품, 폐컴퓨터, 헌옷, 공병 등을 수거, 분리, 판매 통해 자원의 효율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는 사업 - 재활용사업 전반에 대한 교육을 실시
춘천지역자활센터
(12) 자활아카데미 : 정책적․제도적 현안과 자활사업의 당면과제課題를 함께 토론하고 고민함으로써 지歷史(역사)회 속에서 사회적일자리 창출 및 사회서비스 제공을 통해, 자활사업을 지역복지의 한 영역으로써 올곧게 자리매김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습니다.
2000년
Download : 기관분석보고서.hwp( 90 )
01월 - 2007년도 정기총회 및 2006년도 사업보고회
4. 기관의 행정사항
345-7131





2. 기관의 목적
(4) 도내 지역자활센터 직원의 교육 및 훈련
(4) 사업단 네트워크 지원 : 지역자활센터 간 네트워킹을 통해 자활사업을 보다 발전시키기 위함이며, 강원지역에는 간병사업단․집수리사업단․재활용사업단․청소사업단․장애통합교육보조원사업단․영농사업단․급식사업단이 네트워크를 통해 사업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http://www.ccjh.or.kr
(10) 지역주민에 필요한 기초교육과 교양교육, 직업·기술·전문교육 및 건강과 보건교육, 지歷史(역사)회 교육 등 기타 학교 교육 이외의 조직적인 교육사업
- 부회장단 : 부회장 4인(지역자활센터장중 3인, 1인은 대표실장)
01월 - 2006년도 정기총회 및 2005년도 사업보고회
442-0400
(9) 교육실무자 교육 : 교육실무자의 전문성 확보를 통해 자활 교육사업의 활성화 및 전문화를 모색하고, 이를 통한 자활의 정체성 확립을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01월 - 2010년 사업보고회 및 2011년도 정기총회
2012년
속초지역자활센터
(2) 기관부담금
◈ 진행중인 program
1999년
2) 집수리사업 - 지급되는 주거급여 중 자가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현물급여사업 참여 - 건설관련 전문교육기관 통한 기술교육 실시
고성지역자활센터
09월 - 제2기 참여자 자활학교
(강원도광역자활센터/희망일자리본부)
제출일
01월 - 2003년 임시 운영위원회
10월 - 제4회 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자활한마당
535-1648
http://www.sjahwal.com
2) 주요사업
06월 - 제3회 강원도 자활사업 민·관연찬회
(11) 평생교육사업 수행
(1) 행정구조
정선지역자활센터
2) 예산, 후원 및 지원사항
7) 공예사업 - 사회적 자원을 활용하여 봉제공예, 짚풀공예, 목공예, 한지공예, 유리공예, 숯공예 등의 공예품을 제작 및 판매 - 천연염색천을 이용한 다양한 생활소품도 제작․판매
07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신규기관 실무자교육
2004년
- 사 무 국 : 안미나(강원도지역자활센터협회 사무국장
(13) 그 밖에 본 회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12월 - 강원자활후견기관협회 간병사업 사업보고회
2010년
1. 기관의 歷史(역사)
강릉지역자활센터
(1) 사업보고회 및 정기총회 : 한 해 동안 진행해 온 사업을 공유하고 평가하면서 차기년도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나아가 자활사업의 중장기적인 발전 전망을 제시하기 위해 매년 1월에 진행합니다. 이밖에도 평생교육사업 수행, 부설기관 설치 및 운영, 요양보호사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 설립 및 운영, 자활참여자가 생산한 농축수산물의 유통 및 가공사업에도 관심과 전략의 수립을 위해 여락한 자활현장의 고민들을 해결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