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적 서정시와 민요적 가락의 추구 - 신 경 림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4 08:04본문
Download : 민중적 서정시와 민요적 가락의 추구 - 신 경 림.hwp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민중적 서정시와 민요적 가락의 추구 - 신 경 림.hwp( 91 )
민중적 서정시와 민요적 가락의 추구 - 신 경 림
· 참으로 훌륭한 시라면 나아가서 일반 민중의 사상과 의지를 결합시키고 그것을 승화시킬 수 있는 것이 되지 ...
1) 올바른 역사의식의 소유.· 참으로 훌륭한 시라면 나아가서 일반 민중의 사상과 의지를 결합시키고 그것을 승화시킬 수 있는 것이 되지 ... , 민중적 서정시와 민요적 가락의 추구 - 신 경 림인문사회레포트 ,
1) 올바른 歷史(역사)의식의 소유.
· 참으로 훌륭한 시라면 나아가서 일반 민중의 사상과 의지를 결합시키고 그것을 승화시킬 수 있는 것이 되지 않아서는 안될 것입니다.
· 시집 『농무』중 어느 한 편을 무작위로 골라 읽어도 거기에는 편편마다 세세한 사연이 빛나고 있고 당대 민중의 절절한 염원이 짙은 숨결로 배어 있따
· 김수영이 제기한 ‘참여시’의 문제들이 신경림에 이르러서야 일거에 해결…(skip)
1) 올바른 history(역사) 의식의 소유.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
- 나는 왜 詩를 쓰는가 (삶의 眞實과 詩的 眞實, p.54~55)
→ 올바른 歷史(역사)의식의 소유 주장 (민중시론 주장).
2) 『農務』에 실려 있는 거의 대부분의 시 - 「겨울밤」,「罷場」,「農務」,「제삿날 밤」등
<이시영, 70년대의 시- 신경림과 김지하 시를 중심으로, 동서문학 196호, 동서文化사, 1990. 11.>
·「겨울밤」- 이 시는 화자(話者)부터가 민중이며, 철저히 민중적 관점에 서서 오늘을 사는 자신들의 왁자지껄한 내용을 담 고 있는 것이다. [……] 시는 歷史(역사)의 주체에, 민족의 중심 세력인 민중 속에서 그들과 함께 歷史(역사)를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니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이것은 오로지 시인이 올바른 歷史(역사) 인식, 올바른 사회 의식을 가질 때에만 가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