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천징수와 국세기본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21 18:07본문
Download : ★원천징수와 국세기본법(개념,내용)★.hwp
즉, 세법이 정하는 일정 한 소득금액 또는 수입금액을 상대방에게 지급하는 때에는 그 지급하는 자(원천징수의무자)가 세금을 징수(세금을 차감한 후 지급금액 지급)하여 政府에 납부하는 제도이다.
원천징수,국세기본법,세법,국세,납세의무,기타,레포트
%E2%98%85_hwp_01.gif)
%E2%98%85_hwp_02.gif)
%E2%98%85_hwp_03.gif)
1. 원천징수 [源泉徵收, withholding]
1)槪念
2)내용
2. 국세기본법 [國稅基本法]
1)槪念
2)내용
1>원천징수 [源泉徵收, withholding] ‘원천징수’라 함은 원천징수의무자가 국세를 징수함을 말한다. 원천징수에는 완납적(完納的) 원천징수와 예납적(豫納的) 원천징수가 있따 완납적 원천징수는 원천징수만으로 납세의무가 완결되는 경우로서 일용근로자의 근로소득, 분리과세이자소득, 분리과세배당소득, 합계액이 종합과세 기준금액 이하인 거주자와 그 배우자의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타소득 등에 대한 원천징수 등이 그에 해당된다(소득세법 제14조). 예납적 원천징수는 나중에 확정신고납부를 할 것을 전제로 하는 경우로서 원천징수는 원칙적으로 이에 해당된다 국내에서 거주자나 비거주자에게 이자소득금액, 배당소득금액, 일정한 사업소득에 대한 수입금액, 갑종근로소득금액, 연금소득금액, …(drop)
레포트/기타
Download : ★원천징수와 국세기본법(개념,내용)★.hwp( 41 )
1. 원천징수 [源泉徵收, withholding] , 1)관념, 2)내용, , 2. 국세기본법 [國稅基本法], 1)관념, 2)내용, , filesize : 29K
1. 원천징수 [源泉徵收, withholding] , 1)개념, 2)내용, , 2. 국세기본법 [國稅基本法], 1)개념, 2)내용, , FileSize : 29K , 원천징수와 국세기본법기타레포트 , 원천징수 국세기본법 세법 국세 납세의무
원천징수와 국세기본법
순서
설명
다. 이 제도는 조세포탈을 미연에 방지하고, 세금을 미리받아 세입예산을 조기확보하며, 원천징수의무자가 대신 징수하므로 징수비용의 정감의 effect가 있따 대상소득으로는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근로소득, 기타소득 및 퇴직소득 등이 있따 원천징수는 그 종류가 다시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완납적 원천징수’와 ‘예납적 원천징수’이다. 완납적 원천징수는 원천징수로 납세의 의무가 종결되는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면 소액이자소득, 소액배당소득 등은 원천징수로 납세가 완료된다 예납적 원천징수는 원천징수 후 사후에 정산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근로소득세 원천징수 등이 있따 ▶원천징수 )槪念 소득금액 또는 수입금액을 지급할 때, 그 지급자가 그 지급받는 자가 부담할 세액을 미리 국가를 대신하여 징수하는 것 )내용 원천징수는 징세의 편의 및 조세수입․납세자부담의 분산을 도모하는 제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