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10:55본문
Download : 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hwp
순서
설명
1. 작가, 독자, 작품의 관념 (에스카르피,<책과 독자>)
작품 이해에서 작가와 동일한 코드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를 지님
→ 허구적인 독자 : 작품은 곧 이야기라고 인식
① 창조적 독자: 작가가 생산한 텍스트는 독자의 활성화를 통해서 구체화된다는 기본 논리
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
2. 작가의 3가지 형태 (한네로레 링크)
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
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
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
② 이상적인 독자: 작가가 창작할 때 이미 염두에 두었던 독자
있는 것을 부정
3. 빈센트 레이치
☢ 독자지향 비평이 작가중심 비평이나 텍스트 비평과 대등한 위치에 올라서고 있음을 입증
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
② 이상적 독자 ⑤ 현실적 독자
③ 함축된 독자: 실재하는 독자가 아니라 텍스트가 그 수용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는 가능한 독자
5. 테리 이글턴 - 독자해방운동
.
→ 사실적인 독자 : 작품으로부터 작가의 전기의 내용을 알려 함.
① 독자의 유형으로 박식한 독자 ④ 실제적 독자
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
Download : 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hwp( 58 )
① 사실로서의 작가 : 일정한 체험과 삶의 내용이 강조된 경우의 작가
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
5. 로저스 - 놀랄 만한 독자
.
.
♪ 일상적인 감각적 인간으로서는 텍스트가 제공하는 어떤 즐거움에도 빠질 수 있음.
③ 상상적 독자 ⑥ 초독자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② 작가의 문제의식은 실제 작품으로 형상화되는 과정에서는 미적・문체적・언어적・기술적인 형태로 재구성된다된다.
→ 추상적인 독자 : 작품으로부터 사상을 이끌어 내려고 함.
다.
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 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 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 독자의 유형, 소설연구 방법론
☢ 독자들은 점점 더 작가가 아닌 존재, 수준 낮은 타자, 작가의 금이 간 파생물로 보이고
③ 허구로서의 작가 : 작품 속에 직접 등장하여 허구적 현장에 대해 말을 하는 작가
4. 차봉희 - 독일문예학계에서 독자의 유형
③ 이러한 형태의 작품은 정작 독자의 눈앞에서는 history(역사) 적・정치적・사회적 그리고 경제적인 문제의식을 담은 공간으로 나타난다.
♪ 대부분의 독자 유형에서는 인정 받지 못하는 자아, 정체성, 개성 등을 소유하고 있으며, 개성은 독자들에게 성에 따른 역할, 사회적 역할, 개인사, 몸, 욕구, 공포, 욕망, 갈등, 가치, 목표 등과 같은 다양한 심리적 리얼리티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
♪ 많은 코드와 미디어를 지닌 독자로서 놀랄 만한 시청자, 놀랄 만한 해석자로 여김
② 추상으로서의 작가 : 일정한 작품을 생산・창조하는 예술가 혹은 의식의 탐구자로서 강조
① 작가는 주로 심리학적・도덕적・철학적인 측면에서 문제의식을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