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의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의 개념(槪念)과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방어기제 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4-02 03:38본문
Download : 자아_방어기제.hwp
자아의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의 개념(槪念)과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방어기제 에 대하여
자아의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의 개념과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방어기제 에 대하여
는 위협적인 충동, 감정, 소원, 상상, 기억 등이 의식되는 것을 막아 준다. 가장 흔히 쓰는 방어기제로 의식에서
Download : 자아_방어기제.hwp( 70 )
2. 억제(suppression)





레포트 > 기타
억제(抑制, suppression)란 의식적으로, 혹은 반의식적으로 잊으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실연당한 젊은이가 연인과의 추억을 잊으려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방어기제이다. 1. 억압(repression)
비의식에서 자신의 성적 욕구 혹은 적대적인 욕구로 인해서 상대에게 피해를 주었다고 느낄 때, 그에게 준 피해를 취소하고 원상복귀하려는 행동을 할 때 취소(取消, undoing)라고 한다.
부정으로 번 돈의 일부를 자선 사업에 쓰는 경우, 다이너마이트로 번 돈으로 노벨상을 만드는 행동이 취소 방어기제에 속한다.
3. 취소(undoing)
용납하기 힘든 생각, 욕망, 충동들을 무의식 속으로 눌러 넣어 버리는 것이다. 가장 흔히 쓰는 방어기제로 의식에서 용납하기 힘든 생각, 욕망, 충동들을 무의식 속으로 눌러 넣어 버리는 것이다. 억압을 통해서 자아
억압(抑壓, repression)은 불안에 대한 1차적 방어기제이다. 많은 종교 의식의 기저에 취소 방어기제가 있다
1. 억압(repression) 억압(抑壓, repression)은 불안에 대한 1차적 방어기제이다.
순서
설명
다. 억압을 통해서 자아 는 위협적인 충동, 감정, 소원, 상상, 기억 등이 의식되는 것을 막아 준다. 부인을 때린 남편이 꽃을 사다 주는 행위도 취소다. 속죄행위가 이 취소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