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상문(report)] 소유냐 존재냐 E 프롬 / ‘소유냐 존재냐’를 읽고나서 / 이책은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0 16:05
본문
Download : 소유냐 존재냐 - E 프롬.hwp
책에서 든 예 중에 가장 공감되고 와닿았던 것이 ‘기억’ 부분에서 토스카니니의 예였다. 이에 반해 존재양식은 소비주의적 성향을 넘어선 진정한 창조적 삶과 기쁨을 공유하는 상호간의 이해에 기초를 둔 것이다. 오로지 한 가지의 방법만은 존재할 수도 없을뿐더러, 현대 사회의 特性(특성)상 두 가지의 방식을 적절히 혼용해야 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다만 어떤 것에 더 무게를 두느냐의 문제인 것이다. 악보를 충분히 외운 뒤에라야 악보에 얽매이지 않고 악보와의 상호작용, ...


‘소유냐 존재냐’ 를 읽고 이책은 삶의 근원이 되는 두 가...
순서
다.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고 산업 시대가 도래하면서 사람들은 자유를 경험하고, 산업화가 계속 진행되면 이 새로운 자유가 결국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미치리라는 신념을 가지게 되었다. 음악을 조금이라도 하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스코어 악보를 외운다는 것은 보통일이 아닐것이다. 악보를 보고 연주를 하면 악보에 얽매여 음악이 내 것이 되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연주하게 된다 연주하는 음악을 내면화하지 못하고 단지 ‘소유’하려고 할 때의 현상이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그러나 우리가 피아노 곡을 연주하거나 성악 곡을 노래할 때에도 암보를 했을때와 그렇지 못했을 때 연주되는 음악의 질이 확연히 달라진다. 소유와 존재는 어려운 관념인 것 같지만 일상 경험에서도 자주 마주칠 수 있는 관념이다. 이것은 무엇이 인간을 위해 좋으냐 보다 무엇이 체제의 성장을 위해 중요한가가 더욱 부각되었기 때문인데, 바로 이것이 소유양식의 대표적 모습이다. 예를 들자면 학습을 할 때 소유양식에서의 학습의 모습은 배운것을 고수하고, 새로운 사상이나 관념을 접하게되면 두려움을 갖게된다 이에 반해 존재양식에서의 학습의 양상은 받아들이고 ‘반응하는’모습이다. 그러나 산업 시대는 분명 이 ‘위대한 약속’을 이행하는 것에 실패했다. 그는 존재양식을 가진 대표적 음악가로서 스코어 악보를 모두 외워 지휘를 했다고 한다.
설명
Download : 소유냐 존재냐 - E 프롬.hwp( 86 )
[ 감상문(report)] 소유냐 존재냐 E 프롬 / ‘소유냐 존재냐’를 읽고나서 / 이책은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감상문 소유냐 존재냐 E 프롬 / ‘소유냐 존재냐’를 읽고 이책은
‘소유냐 존재냐’ 를 읽고나서 이책은 삶의 근원이 되는 두 가...
‘소유냐 존재냐’ 를 읽고쓰기 이책은 삶의 근원이 되는 두 가지의 존재의 방식 소유양식과 존재양식에 대해 끊임없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