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report) ] 렌즈의 초점거리 측정(測定) [1]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13 22:19
본문
Download : [레포트] 렌즈의 초점거리 측정[1].hwp
(1-1)
a는 렌즈와 물체간의 거리, b는 렌즈와 상까지의 거리, f는 렌즈의 초점거리이다. 먼 거리에 있는 물체, 즉 實驗실 밖의 나무나 건물을 볼록렌즈에 의해 스크린에 상을 맺게 하고 렌즈와 스크린 간의 거리를 측정(measurement)하면 초점거리의 근사 값을 수할 수 있다 이유는 [식 (1-1)]에서 a의 값이 충분히 커서 의 값이 0에 수렴하면 의 관계가 성립하고, 렌즈에서 멀리 있는 물체의…(투비컨티뉴드 )
[레포트(report) ] 렌즈의 초점거리 측정(測定) [1]
설명
Download : [레포트] 렌즈의 초점거리 측정[1].hwp( 90 )
[레포트],렌즈의,초점거리,측정[1],공학기술,레포트
순서
[레포트] 렌즈의 초점거리 측정[1] , [레포트] 렌즈의 초점거리 측정[1]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 렌즈의 초점거리 측정[1]
레포트/공학기술
다. 본 實驗에서는 오목 렌즈나 볼록 렌즈의 초점 거리를 결정하고 볼록 렌즈에 의한 상의 배율을 측정(measurement)한다.[레포트(report) ] 렌즈의 초점거리 측정(測定) [1]
![[레포트]%20렌즈의%20초점거리%20측정[1]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B%A0%8C%EC%A6%88%EC%9D%98%20%EC%B4%88%EC%A0%90%EA%B1%B0%EB%A6%AC%20%EC%B8%A1%EC%A0%95%5B1%5D_hwp_01.gif)
![[레포트]%20렌즈의%20초점거리%20측정[1]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B%A0%8C%EC%A6%88%EC%9D%98%20%EC%B4%88%EC%A0%90%EA%B1%B0%EB%A6%AC%20%EC%B8%A1%EC%A0%95%5B1%5D_hwp_02.gif)
![[레포트]%20렌즈의%20초점거리%20측정[1]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B%A0%8C%EC%A6%88%EC%9D%98%20%EC%B4%88%EC%A0%90%EA%B1%B0%EB%A6%AC%20%EC%B8%A1%EC%A0%95%5B1%5D_hwp_03.gif)
![[레포트]%20렌즈의%20초점거리%20측정[1]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B%A0%8C%EC%A6%88%EC%9D%98%20%EC%B4%88%EC%A0%90%EA%B1%B0%EB%A6%AC%20%EC%B8%A1%EC%A0%95%5B1%5D_hwp_04.gif)
렌즈의 초점거리 측정(measurement)
1. 목 적
빛의 굴절을 이용하면 유용한 여러 가지 도구를 만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 많이 쓰이는 것이 렌즈이다. 렌즈에서 떨어진 거리와 상의 크기는 비례하므로 배율 m을 다음과 같이 정이 할 수 있다
(1-2)
4. 實驗방법
A. 볼록렌즈
(1) 렌즈의 초점거리를 근사적으로 측정(measurement)한다. 초점거리의 정이는 평행광선이 렌즈를 통과하면 한 점에 모이게 되는데 렌즈와 이 점사이의 거리를 초점거리라 한다.
볼록렌즈의 경우 b]0이고 오목렌즈의 경우 b[0이다.
렌즈의 배율은 물체의 크기와 상의 크기의 비이다.
2. 장치 및 기구
광학대(볼록렌즈), 광학대(오목렌즈), 십자슬릿, 볼록렌즈, 오목렌즈, 스크린
3. 이 론
물체와 렌즈에 의해 맺혀진 상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볼록렌즈의 경우 물체에서 나온 광선이 실제로 한 점에 모이므로 이를 실상이라 하는데 반해, 오목렌즈의 경우 광선들이 한 점에 모이는 것이 아니고 마치 한 점에서 ‘출발한’ 것처럼 보이는데 이러한 상을 허상이라 한다. 이렇게 정이하면[식 (1-1)]이 두 경우 모두 성립한다. 광선 formula이 일관성을 갖기 위해 상의 위치 b의 부호는 렌즈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물체 쪽에 상이 생기면 음수(-)이고 반대쪽에 상이 생기면 양수(+)로 정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