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y.co.kr 자궁경관무력증 > ready5 | ready.co.kr report

자궁경관무력증 > ready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ready5

자궁경관무력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1 16:39

본문




Download : 자궁경관무력증.hwp




- 임신 24~26주 이후, 일반적으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습니다. 임신중기 이후에 무통성 자궁경관개대가 있으면서 양막파열과 함께 조산된 경우가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IIOC








자궁경관무력증에 대한 글입니다.IIOC , 자궁경관무력증의약보건레포트 ,
다.
* 비임신시에는 자궁조영법(hysterography), 팽창된 풍선도관(catheter balloons)의 견인법, 자궁내구를 자궁경관확장기(Hegar cervical dilators)가 저항없이 통과시 등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수술여부를 결정하지 못할 경우 - 우선 환자를 안정 성교는 금하며, 자주 자궁경부 진찰
• 임신 14주부터 27주까지 매주 자궁하절부의 초음파감시 추천 - 이러한 감시에도 불구하고…(생략(省略))

,의약보건,레포트
자궁경관무력증에 대한 글입니다.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Download : 자궁경관무력증.hwp( 55 )







자궁경관무력증_hwp_01.gif 자궁경관무력증_hwp_02.gif 자궁경관무력증_hwp_03.gif 자궁경관무력증_hwp_04.gif

설명
자궁경관무력증
3. 증상 및 징후
무통성 경관개대, 이슬, 양막의 팽윤 ⇢ 자연유산, 습관성유산, 조산

4. 진단
환자의 과거 산과력이 중요합니다.(임신 20~30주에서 자궁경부의 길이와 조산율이 상관 관계가 有)





5. 경과와 예후
① 자궁경부의 원주봉합술(cerclage) : 쌈지봉합(purse-string suture)으로 자궁경부를 강화
② 금기증 : 출혈, 자궁수축, 태막파열 등
③ 수술 전 평가
• 수술시기 - 14주 이후, 늦게 수술을 시행할수록 조산통과 태막파열을 자극
• 임신중기 이후에는 수술보다 안정을 권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초음파검사가 필수 - 생존아의 확인, 선천성기형 여부를 필히 진단
• 자궁경부감염증 - 수술 전 치료가 필요..!! 임질균, 크라미디아균(chlamydia), 연쇄상구균 배양
• 적어도 수술 1주일 전부터 수술후 1주일까지는 성교를 금해야 합니다.
• 임신 제2삼분기 후반의 응급수술 - 일부 산모에서는 效果(효과)가 있으나, 감염 등의 합병증이 생길 빈도가 월등히 높으며, 밀려 내려온 태막으로 인하여 수술 실패율도 상당히 높습니다.
* 임신시에는 초음파촬영법 특히 질초음파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전체 18,39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ready.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