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지도자론C형] 허시와 블랜챠드 상황모형에 의한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 사정과 적절한 지도자 행동스타일 결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22 15:08본문
Download : 허시와 블랜챠드 상황모형에 의한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와 지도자 행동.hwp
허시와 블랜차드의 리더십은 리더십 수명주기라고도 한다.
설명
이상오, 리더십 歷史(역사)와 展望(전망) , 연세대학교출판부, 2008
케네스 블랜차드, 조천제 역, 켄 블랜차드의 상황대응 리더십(Ken Blanchard`s Situational Leadership 2 Bible), 21 세기(世紀) 북스, 2007
허시와 블랜차드는 가장 이상적인 유일최선의 리더십 유형을 발견하려 하지 않고, 리더십 유형은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아
부하의 성숙도는 그 조직에 고용된 시간의 길이로 처리 될 수 없으며 고용인의 나이 나 직업적 경험으로 처리될 수 있는 것도 확실히 아니다. [참고자료] 케네스 블랜차드, 조천제 역, 켄 블랜차드의 상황대응 리더십(Ken Blanchard`s Situational Leadership 2 Bible), 21세기북스, 2007 하워드모건 외, 홍의숙 역, 리더십 코칭, 거름, 2006 EBS 독학사연구회 편저, 경영조직론, 지식과미래, 2009 이상오, 리더십 역사와 전망, 연세대학교출판부, 2008 페터드뢰제 외, 김종영 역,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허시블랜차드수명주기이론, 허시, 블랜차드, 수명주기이론, 구성원성숙도, 리더십, 리더쉽, 간호지도자론,
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있는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를 사정하고, 실지의 지도자와 비교하면서 그 조직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했습니다.
유효성과의 관련하여 이들의 모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부하의 직무성숙도가 mean or average(평균) 적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리더는 과업지향적 행동과 인간관계지향적 행동을 서서히 억제하고, 직무수행에 성숙되고 높은 의욕을 가지게 된 부하에게 과업을 맡겨야 한다는 것이다.
허시와 블랜챠드는 피들러의 상황concept(개념)을 더 깊이 취급해서 상황의 변수로 리더가 일하고 있는 조직의 하급자의 성숙도를 제시하였다.
부하의 직무성숙도가 높아짐에 따라 리더는 직무상의 지시나 명령, 즉 과업지향적 행동을 점차 줄이고, 즉 인간관계지향적 행동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워드모건 외, 홍의숙 역, 리더십 코칭, 거름, 2006
직무상의 성숙도란 직무와 관련된 기능, 기술, 지식 등을 말하고, 심리상의 성숙도란 자신감과 자기존경심을 말한다.
1. 내가 속해있는 조직
이에 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내가 속해있는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를 사정하고, 실지의 지도자와 비교하면서 그 조직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해 보고자 한다. 그러나 부하의 성숙도란 구체적인 과업에 관련된 의미이지 결코 개인의 어떤 총체적인 의미에서 성숙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Ⅱ. 리더십 관리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리더십은 오하이오 대학 연구의 구조주도와 배려의 concept(개념)을 이용하여 리더의 행동을 과업지향적 행동과 인간관계지향적 행동의 두 차원을 축으로 한 4분면으로 리더십 스타일을 분류하고 여기에 상황요인으로서 구성원의 성숙도를 추가하여 리더십에 관한 이념을 제시하였다. 부하의 성숙도란 그 그룹이 당면하고 있는 직무에 익숙한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직무상의 성숙도 와 심리상의 성숙도 두 가지 면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높지만 달성 가능한 goal(목표) 를 설정하는 능력, 기꺼이 책임을 수행하려는 자발성, 그리고 교육 및 경험의 정도(허시와 블랜차드, 1977)라고 定義(정의) 할 수 있다아
Ⅰ. 서 론
Download : 허시와 블랜챠드 상황모형에 의한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와 지도자 행동.hwp( 88 )
페터드뢰제 외, 김종영 역,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참고data(資料)]
EBS 독학사연구회 편저, 경영조직론, 지식과future(미래), 2009
4. 구성원 성숙도 사정과 실지의 지도자와 비교하면서 그 조직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 결정
[간호지도자론C형] 허시와 블랜챠드 상황모형에 의한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 사정과 적절한 지도자 행동스타일 결정
Ⅴ. 내가 속해있는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 사정과 실지의 지도자와 비교하면서 그 조직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 결정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Ⅵ. 결 론
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있는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를 사정하고, 실지의 지도자와 비교하면서 그 조직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을 결정했습니다.
3. 실지의 지도자 사정
순서
[참고 문헌]
Ⅰ. 서 론
2. 내가 속해있는 조직의 구성원 성숙도 사정
Ⅲ. 허시-블랜차드의 수명주기理論
Ⅳ.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리더십 理論에 대한 평가
과업행위는 각 구성원이 무슨 활동을 해야 하며, 업무를 언제, 어디서,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명확하게 說明(설명) 해주고, 일이 제대로 완성되었는지에 대한 점검 등을 하려는 노력이다.
다. 인간관계행위는 지도자가 의사소통의 문을 개방하고 사회·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하며 바람직한 행동을 조장함으로써 지도자 자신과 구성원 간에 개인적인 관계를 유지하려고 하는 정도이다. 지도자는 숙련된 그룹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이 새로운 임무를 수행해야 할 처치에 놓일 수도 있는데, 이 때 그 그룹은 그 특정 임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미숙한 것으로 평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