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터민 가족] 새터민의 槪念과 상황 및 새터민 가족의 characteristic(특성)과 현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4-12 15:38본문
Download : [새터민 가족] 새터민의 개념과 현황 및 새터민 가족의 특성과 현안.hwp
그러다가 탈북자란 호
칭 속에 부정적인 이미지가 존재한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이념적 의미와
부정적 이미지를 줄일...
[새터민 가족] 새터민의 개념(槪念)과 실태 및 새터민 가족의 特性(특성)과 현안
목차
Ⅰ. 새터민의 개념(槪念)과 실태
Ⅱ. 새터민 가족의 特性(특성)과 현안
1. 새터민 지원 체계
2. 새터민 부부
3. 새터민 자녀 교육
Ⅲ. 새터민 가족들과 사회의 상호 적응을 위하여
1. 경제적 정착
2. 사회적 시각의 교정
*서지사항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으로 향하는 사람들의 물결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
다. 냉전
시기가 끝난 1990년대 이후부터는 북한을 탈출하는 사람들의 수효는 급증
했고, 이후 이들을 `탈북자`라는 이름으로 불러 왔다. 그러다가 탈북자란 호
칭 속에 부정적인 이미지가 존재한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이념적 의미와
부정적 이미지를 줄일 수 있다고 하여 채택된 이름이 `새터민` 이다. 냉전
시기가 끝난 1990년대 이후부터는 북한을 탈출하는 사람들의 수효는 급증
했고, 이후 이들을 `탈북자`라는 이름으로 불러 왔다.
그리고 한국 전쟁 이후 1980년대까지의 냉전기 동안 북한을 탈출해 남한으
로 향한 사람들을 우리 사회는 `귀순 용사` 라는 이름으로 우대했었다. 그런데
2005년 이래 우리 사회에서는 특히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에 정착한 사람
들? 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하기 처음 하였다. 해방 이후 한국전쟁 시기까지 이주한 사람들을 `실향민` 이라고 부른다.
1. 새터민의 개념(槪念)과 실태
새터민이란 `새로운 터전에서 사는 사람` 이란 뜻을 지녀서, 삶의 터전을
을긴 사람들을 총칭한다.
그리고 한국 전쟁 이후 1980년대까지의 냉전기 동안 북한을 탈출해 남한으
로 향한 사람들을 우리 사회는 `귀순 용사` 라는 이름으로 우대했었다.
최근 10년 사이에 새터민은 급격한 비율로 증가했다. 현재 7-8천 명의 새터민들이 우리 사회에서 살
고 있고, 앞으로도 매년 1,000여…(투비컨티뉴드 )
![[새터민%20가족]%20새터민의%20개념과%20현황%20및%20새터민%20가족의%20특성과%20현안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3%88%ED%84%B0%EB%AF%BC%20%EA%B0%80%EC%A1%B1%5D%20%EC%83%88%ED%84%B0%EB%AF%BC%EC%9D%98%20%EA%B0%9C%EB%85%90%EA%B3%BC%20%ED%98%84%ED%99%A9%20%EB%B0%8F%20%EC%83%88%ED%84%B0%EB%AF%BC%20%EA%B0%80%EC%A1%B1%EC%9D%98%20%ED%8A%B9%EC%84%B1%EA%B3%BC%20%ED%98%84%EC%95%88_hwp_01.gif)
![[새터민%20가족]%20새터민의%20개념과%20현황%20및%20새터민%20가족의%20특성과%20현안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3%88%ED%84%B0%EB%AF%BC%20%EA%B0%80%EC%A1%B1%5D%20%EC%83%88%ED%84%B0%EB%AF%BC%EC%9D%98%20%EA%B0%9C%EB%85%90%EA%B3%BC%20%ED%98%84%ED%99%A9%20%EB%B0%8F%20%EC%83%88%ED%84%B0%EB%AF%BC%20%EA%B0%80%EC%A1%B1%EC%9D%98%20%ED%8A%B9%EC%84%B1%EA%B3%BC%20%ED%98%84%EC%95%88_hwp_02.gif)
![[새터민%20가족]%20새터민의%20개념과%20현황%20및%20새터민%20가족의%20특성과%20현안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3%88%ED%84%B0%EB%AF%BC%20%EA%B0%80%EC%A1%B1%5D%20%EC%83%88%ED%84%B0%EB%AF%BC%EC%9D%98%20%EA%B0%9C%EB%85%90%EA%B3%BC%20%ED%98%84%ED%99%A9%20%EB%B0%8F%20%EC%83%88%ED%84%B0%EB%AF%BC%20%EA%B0%80%EC%A1%B1%EC%9D%98%20%ED%8A%B9%EC%84%B1%EA%B3%BC%20%ED%98%84%EC%95%88_hwp_03.gif)
![[새터민%20가족]%20새터민의%20개념과%20현황%20및%20새터민%20가족의%20특성과%20현안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3%88%ED%84%B0%EB%AF%BC%20%EA%B0%80%EC%A1%B1%5D%20%EC%83%88%ED%84%B0%EB%AF%BC%EC%9D%98%20%EA%B0%9C%EB%85%90%EA%B3%BC%20%ED%98%84%ED%99%A9%20%EB%B0%8F%20%EC%83%88%ED%84%B0%EB%AF%BC%20%EA%B0%80%EC%A1%B1%EC%9D%98%20%ED%8A%B9%EC%84%B1%EA%B3%BC%20%ED%98%84%EC%95%88_hwp_04.gif)
![[새터민%20가족]%20새터민의%20개념과%20현황%20및%20새터민%20가족의%20특성과%20현안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3%88%ED%84%B0%EB%AF%BC%20%EA%B0%80%EC%A1%B1%5D%20%EC%83%88%ED%84%B0%EB%AF%BC%EC%9D%98%20%EA%B0%9C%EB%85%90%EA%B3%BC%20%ED%98%84%ED%99%A9%20%EB%B0%8F%20%EC%83%88%ED%84%B0%EB%AF%BC%20%EA%B0%80%EC%A1%B1%EC%9D%98%20%ED%8A%B9%EC%84%B1%EA%B3%BC%20%ED%98%84%EC%95%88_hwp_05.gif)
![[새터민%20가족]%20새터민의%20개념과%20현황%20및%20새터민%20가족의%20특성과%20현안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3%88%ED%84%B0%EB%AF%BC%20%EA%B0%80%EC%A1%B1%5D%20%EC%83%88%ED%84%B0%EB%AF%BC%EC%9D%98%20%EA%B0%9C%EB%85%90%EA%B3%BC%20%ED%98%84%ED%99%A9%20%EB%B0%8F%20%EC%83%88%ED%84%B0%EB%AF%BC%20%EA%B0%80%EC%A1%B1%EC%9D%98%20%ED%8A%B9%EC%84%B1%EA%B3%BC%20%ED%98%84%EC%95%88_hwp_06.gif)
새터민,가족,새터민,개념과,새터민,가족,특성과,현안,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새터민 가족] 새터민의 개념과 현황 및 새터민 가족의 특성과 현안 , [새터민 가족] 새터민의 개념과 현황 및 새터민 가족의 특성과 현안인문사회레포트 , 새터민 가족 새터민 개념과 새터민 가족 특성과 현안
설명
다. 해방 이후 한국전쟁 시기까지 이주한 사람들을 `실향민` 이라고 부른다. 수몰지구를 떠나 다른 곳에 뿌리를 내린 사람들,
도시를 떠나 두메산골에 둥지를 튼 사람들, 혹은 자신의 본국을 떠나 타지인
한국에서 삶을 꾸려가는 사람들 등 모두를 포괄할 수 있는 의미이다. 1990년대 중반부터
북한의 식량난이 심화되어 탈북 행렬이 급증하면서 매년 유입인원이 배가
하더니 2002년부터는 연판 1,000여 명을 넘어섰고 특히 2004딘 한 해
동안 1,900명에 근접하였다.
[새터민 가족] 새터민의 槪念과 상황 및 새터민 가족의 characteristic(특성)과 현안
순서
Download : [새터민 가족] 새터민의 개념과 현황 및 새터민 가족의 특성과 현안.hwp( 92 )
[새터민 가족] 새터민의 槪念과 상황 및 새터민 가족의 characteristic(특성)과 현안
[새터민 가족] 새터민의 개념(槪念)과 실태 및 새터민 가족의 特性(특성)과 현안
목차
Ⅰ. 새터민의 개념(槪念)과 실태
Ⅱ. 새터민 가족의 特性(특성)과 현안
1. 새터민 지원 체계
2. 새터민 부부
3. 새터민 자녀 교육
Ⅲ. 새터민 가족들과 사회의 상호 적응을 위하여
1. 경제적 정착
2. 사회적 시각의 교정
서지사항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으로 향하는 사람들의 물결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