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 전쟁과 평화 그리고 국제정치경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1 09:50본문
Download : 전쟁과평화그리고국제정치경제.hwp
또한 ICBM이나 핵잠수함에서의 발사능력 증가로 일차공격으로 인한 상대방의 무력화가 불가능해 짐. 소유럽국가들의 재무장...
Ⅱ. 국제안보의 연구의 영역
I. 안보연구란
Ⅵ. 핵이 국제관계에 미친 influence(영향)
(2) 미국의 절대적 우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핵과 핵사고
Ⅳ. 억지의 사고
(3) 제 3 세계전쟁의 유형
(1) 핵무기의 등장
1) 식민지 해방전쟁
1) 1945년 8월 미국의 핵무기 보유, 1949년 소련의 핵실험, 1952년 미국의 수소폭탄
국제정치와 전쟁과의 관계에 관련되어 일목요연하게 정리(arrangement)한 글입니다.
3) 소위 선제핵 불사용(no-early-first-use)를 기반으로한 유연reaction (flexible response)전술으로의 선회 --- assured destruction과 damaged limitations: 침략자에게 분명하고 확실한 손실을 입힐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함으로써 미국과 동맹국에 대한 공격을 억지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이 발발할 경우 국민과 산업시설에 대한 손실을 줄인다. . 선제예방전쟁, 기습공격의 절대성, 민방위의 중요성
다. SDI 논쟁(effect적인 선제공격의 방어기술 개발) --- 소련의 고르바쵸프는 공격용 무기로서의 핵의 유용성을 부인하고 방어만을 수행할 때 요구되는 군사력, 특 잠재적 공격에 대응하기에는 충분하나 격하기에는 불충분하 군사력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
(5) 탈핵
[정치학] 전쟁과 평화 그리고 국제정치경제
(3) 미국의 상대적 우위
[목차]
Download : 전쟁과평화그리고국제정치경제.hwp( 35 )
(1) 핵무기의 등장
Ⅲ. 핵 전술을 결정짓는 요인들
Ⅴ. 핵 전술의 변천
2) 내란
(5) 탈핵
국제정치와 전쟁과의 관계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글입니다.
[본문일부]
Ⅴ. 핵 전술의 변천
(4) 핵균형(balance)
1) 핵이 전쟁을 없앴다
(2) 핵과 전쟁
(2) 미국의 절대적 우위
설명
1) 유연목표(flexible targetting): 1960년대 말부터 미소가 핵전력의 균형을 달성함: --- 미국은 소련 군사목표물만 공격하는 것으로도 소기의 군사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소련 역시 유사한 전술적 變化(변화)를 경험한다.
1) 1980년대부터를 탈핵의 시대로 부른다. 결국 미소 둘 다 effect적 선제공격이 불가능하다고 결론짓는다.
3) 국경전쟁
Ⅶ. 제 3 세계의 전쟁
(2) 전쟁의 Cause 에 대한 연구
(3) 미국의 상대적 우위
순서

2) 미국에서는 대량보복전술에 대한 비판이 점증: 도덕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음. 무엇보다도 신뢰성의 문제 -- 대량보복에 대한 미국의 의지를 믿지 않는다.
전쟁, 국제안보, 국제정치, 핵, 제3세계
3) 핵은 전쟁과는 무관하다
(4) 핵균형(balance)
1) 소련의 열세 만회: 1995년에 중거리 미사일, 1961년에 대륙간 미사일, 1959년에 전술로케트 부대의 창설등 점차적으로 미국과의 격차를 좁힘. 이에 따라 자심감을 가지게 된 후루시쵸프는 소위 최소억지(minimum deterrence)의 관념을 개발하고 재래식 무기의 감축에 들어감.
2) 소련의 경우는 1953년까지 (스탈린 시대)는 핵무기에 대한 인식보다는 여전히 재래식 군사력을 중요시 --- 수소폭탄 보유이후 핵적인 사고를 갖게 됨
(1) 전쟁의 빈도와 규모
2) 핵이 실질적으로는 전쟁을 부추길 수도 있다
1) 대량보복의 전술(massive retaliation): 아이젠하워의 미국은 핵무기에 대한 절대우위와 유럽에서의 재래식 무기의 열세를 보완하기 위해 소련이 유럽에 대해 공격을 감행할 경우 소련 영토에 직접 핵을 사용하는 전술을 채택. --- 후르시쵸프의 노선變化(변화): 자본주의와의 전쟁은 여전히 가능하나 불가피한 것은 아닐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