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심리학의 출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6 18:48
본문
Download : 인지심리학의 출현.hwp
2) 형태심리학
-정신의 내재적인 조직화 경향과 전체적인 성질을 강조하는 인지심리학의 초기 접근
-인간의 의식이나 인지는 단순한 요소들의 합으로 환원할 수 없음
⑴…(To be continued )
순서
인지심리학의 출현
인지심리학의 출현 , 인지심리학의 출현기타레포트 , 인지심리학 출현


레포트/기타
다. 행동주의의 주장과 달리, 잠재적 학습은 reaction(반응)을 하지 않아도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시사.
⑶ 인지적 학습
Tolman에 따르면 학습자들은 행동주의의 주장과 같이 구체적인 행동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인지(기대/신념)는 환경에 대한 인지도를 학습한다.
-Noam Chomsky는 어린 아동이 과거에 강화를 받은 경험이 전혀 없는 새로운 문장을 자유자재로
구사한다는 사실에 주목; 언어습득이 외적 강화가 아니라 선천적으로 소유
1) 목적적 행동주의
-Edward Chace Tolman이 행동주의와 인지론을 통합
-학습이란 단순히 자극-reaction(반응)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아닌, 행동을 하면 결과(강화)를 얻을 것이라는 기대를 학습하는 과정이라고 설명(explanation)
-자극-유기체-reaction(반응)(S-O-R)
⑴ 신호-형태 학습
신호는 자극을, 형태는 자극의 구조적 패턴을 의미
행동을 하면 어떤 goal(목표) 를 달성할 것이라는 신호-형태-기대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에서 개가 종소리에 침을 흘리는 것은 먹이를 줄 것이라는 기대를 학습 했기 때문이다
⑵ 잠재적 학습
실제 학습이 이루어졌지만 그것이 직접 observe할 수 있는 행동(수행)으로 나타나지 않는 학습이다. 인지도는 환경에 대한 정신적 표상이다.인지심리학의 출현
설명
Download : 인지심리학의 출현.hwp( 84 )
인지심리학,출현,기타,레포트
1. 인지심리학의 출현
-인지는 정보를 획득, 이해, 변형하는 모든 형태의 정신활동을 지칭
-인지심리학은 인간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정신과정과 정신구조를 과학적으로 分析(분석)하려는 접근
White box- 자극과 reaction(반응) 사이에 존재하는 인지과정을 이해할 수 있고, 인지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