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상 채무불이행의 유형중이행불능에 대하여 - 민법상 채무불이행의 유형 중 이행불능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14 06:24
본문
Download : 민법상채무불이행의유형중이행불능에대하여.hwp
대판 93.5.27. 92다2xxx3 매매목적부동산에 관하여 이미 제3자의 처분금지가처분등기(또는 소유권말소예고등기)가 기입되었다 할지라도 이는 단지 그에 저촉되는 범위 내에서 가처분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없는 效果(효과)가 있다는 것일 뿐 그것에 의하여 곧바로 부동산 위에 어떤 지배관계가 생겨서 채무자가 그 부동산을 임의로 타에 처분하는 행위 자체를 금지하는 것은 아니라 하겠으므로 가처분등기로 인하여 바로 계약이 이행불능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동지, 대판 99.7.9. 98다13754).
2) 후발적 불능
① 이행불능이 성립하기 위한 불능은 후발적…(skip)
설명
Download : 민법상채무불이행의유형중이행불능에대하여.hwp( 76 )
레포트/법학행정
민법상 채무불이행의 유형중이행불능에 대하여 - 민법상 채무불이행의 유형 중 이행불능에 대하여
순서
민법상 채무불이행의 유형중이행불능에 대하여
민법상 채무불이행의 유형중이행불능에 대하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참고판례 ]
대판 91.7.26. 91다8104 [1]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 의무자가 그 부동산 상에 가등기를 경료한 경우 그 가등기만으로는 소유권이전등기의무가 이행불능이 된다고 할 수 없다.
③ 종국적 불능만이 이행의 불능이며, 일시적 불능은 이행의 불능이 아니다. , 민법상 채무불이행의 유형중이행불능에 대하여 - 민법상 채무불이행의 유형 중 이행불능에 대하여법학행정레포트 , 민법상 채무불이행의 유형중이행불능에 대하여 - 민법상 채무불이행의 유형 중 이행불능에 대하여
다.
민법상 채무불이행의 유형 중 이행불능에 대하여
1. 이행불능의 요건
채권이 성립한 후에 채무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이행이 불능으로 된 경우를 이행불능이라 한다.
(1) 급부불능
1) 판단의 기준
① 사실적?물리적 불능에 한정하지 않고, 거래관념상 불능이면 이행의 불능이 된다
② 객관적 불능뿐만 아니라 주관적 불능도 이행의 불능이다. [2]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 의무자가 그 부동산에 관하여 제3자 앞으로 비록 채무담보를 위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였다고 할지라도 그 의무자가 채무를 변제할 자력이 없는 경우에는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그 소유권이전등기의무는 이행불능이 된다
대판 99.6.11. 99다11045 매매목적물에 대하여 가압류집행이 되었다고 하여 매매에 따른 소유권이전등기가 불가능한 것이 아니므로, 매수인은 대금지급채무의 이행을 거절할 수 있음은 별론으로 하고, 매매목적물이 가압류되었다는 사유만으로는 매도인의 계약위반을 이유로 매매계약을 해제할 수는 없다.민법상,채무불이행의,유형중이행불능에,대하여,-,민법상,채무불이행의,유형,중,이행불능에,대하여,법학행정,레포트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