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y.co.kr Ni-NTA column을 이용한 단백질 정제 > ready3 | ready.co.kr report

Ni-NTA column을 이용한 단백질 정제 > ready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ready3

Ni-NTA column을 이용한 단백질 정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09 22:04

본문




Download : Ni-NTA column을 이용한 단백질 정제.hwp




레포트6 , Ni-NTA column을 이용한 단백질 정제공학기술레포트 ,


1. Introduction
2. Materials & Methods
(1) Ni-NTA column을 이용한 단백질 정제
(2) SDS-PAGE(polyacrylamide gelelectrophoresis)
3. Ni-NTA & SDS-PAGE Result
4. Discussion
5.Reference

우리가 test(실험) 한 F.T의 결과를 보면, C.E와 비교해서 한부분의 밴드를 제외하고, Ni-NTA에 특이적인 affinity를 나타내지 않는 단백질들은 모두 흘러 나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따 또, SDS-PAGE를 통한 Marker와의 비교로 C.E에는 나타나고 F.T에는 나타나지 않는 밴드가 약 20KDa 정도의 크기를 갖는 단백질이라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따

이 test(실험) 에서는 Elution 과정이 중요한데 histidine과 구조가 비슷한 Imidazole을 고농도(100~300mM)로 Buffer를 만들어서 컬럼에 순차적으로 가하여 histidine과 Ni2+과의 결합이 약해지게 되면 표지된 단백질이 떨어져 나오는 과정이다.
설명
report6




다.

Elution1,2,3 결과를 index로 보면, E1은 아무래도 이전과정에서의 wash buffer가 포함되어있어서 우리가 분리하고자 하는 단백질의 밴드가 선…(투비컨티뉴드 )
Ni-NTA column을 이용한 단백질 정제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Ni-NTA column을 이용한 단백질 정제.hwp( 40 )






순서



어떤 세포내에 존재하는 특정한 단백질을 Ni-NTA를 이용한 Affinity chromatography를 통해 정제해보고 궁극적으로 SDS(sodium dodecyl sulfate)를 포함한 SDS-PAGE(polyacrylamide gelelectrophoresis)를 실시하여 직접 그 단백질이 분리되었는지 눈으로 확인하는 experiment(실험) 후 작성한 experiment(실험)report입니다.
Ni-NTA%20column을%20이용한%20단백질%20정제_hwp_01.gif Ni-NTA%20column을%20이용한%20단백질%20정제_hwp_02.gif Ni-NTA%20column을%20이용한%20단백질%20정제_hwp_03.gif Ni-NTA%20column을%20이용한%20단백질%20정제_hwp_04.gif Ni-NTA%20column을%20이용한%20단백질%20정제_hwp_05.gif

어떤 세포내에 존재하는 특정한 단백질을 Ni-NTA를 이용한 Affinity chromatography를 통해 정제해보고 궁극적으로 SDS(sodium dodecyl sulfate)를 포함한 SDS-PAGE(polyacrylamide gelelectrophoresis)를 실시하여 직접 그 단백질이 분리되었는지 눈으로 확인하는 실험 후 작성한 실험레포트입니다.
전체 18,21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ready.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