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개론 1 목차 1. 국어의 음운규칙에 마주향하여 나태내보시오 (10점) 2. 형태소에 대해 나태내보시오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3 07:43본문
Download : 국어학개론.hwp
(7) ‘흙만으로’의 ‘만’과 ‘읽는다’의 ‘읽’은 어휘형태소이면서 의존형태소이다.
(11) 연결어미, 종결어미, 어말어미, 전성어미 중 가장 상위의 범주는 종결어미이다. 잘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거두세요^^*
레포트 > 기타
(18) ‘사ᄅᆞᆷ, 우ᅀᅮᆷ우ᅀᅵ, 여름, 노피’은 중세국어에서 모두 명사로 쓰인 단어들이다.
(12) 문장의 종결어미는 문장의 종류를 나타내 주고, 상대경어법을 실현하며 문장의 시제를 나타내 주는 기능을 한다.
(15) 상위어는 항상 하의어를 의미적으로 함의한다. (14) ‘뛰다’와 ‘좌선(坐禪)’이 반의어가 될 수 없는 이유는 이 두 단어의 의미 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국어학개론입니다.
(19) 근대국어의 문법적 특징 중 하나는 현재시제의 선어말어미가 ‘ᄂᆞ’ 하나로 통일된 것이다.
(12) 문장의 종결어미는 문장의 종류를 나타내 주고, 상대경어법을 실현하며 문장의 시제를 나타내 주는 기능을 한다.
(1) ‘달’과 ‘라면’의 ‘ㄹ’은 각각 다른 음소로 인식된다.
1. 국어의 음운규칙에 대상으로하여 說明(설명) 하시오.(10점)
4. 다음 진술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나태내보시오 (각 2점)
국어학개론,방통대국어학개론,방송대국어학개론,음운론,통사론,훈민정음
(2) 일부 단어는 음의 강약에 의해 의미가 변별되기도 한다. (18) ‘사ᄅᆞᆷ, 우ᅀᅮᆷ우ᅀᅵ, 여름, 노피’은 중세국어에서 모두 명사로 쓰인 단어들이다. (13) ‘하늘에 떠가는 구름을 보고 있다’에서 밑줄 친 ‘는’은 어말어미이면서 연결어미이다. (5) ‘해돋이’가 [해도지]로 발음되는 것은 인접동화이면서 순행동화에 해당하는 예이다.
(6) ‘읽으니, 잠보’는 의존형태소로만 이루어진 단어이다.
(15) 상위어는 항상 하의어를 의미적으로 함의한다.
국어학개론입니다. (3) ‘닭, 신라, 사람’은 모두 음소의 분포 제약과 관련된 단어들이다.
4. 다음 진술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說明(설명) 하시오.(각 2점)
(14) ‘뛰다’와 ‘좌선(坐禪)’이 반의어가 될 수 없는 이유는 이 두 단어의 의미 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14) ‘뛰다’와 ‘좌선(坐禪)’이 반의어가 될 수 없는 이유는 이 두 단어의 의미 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순서
3. 훈민정음의 자음자와 모음자의 제자원리에 대해 說明(설명) 하시오.(10점)
(8) ‘코웃음’은 자립형태소만으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18) ‘사ᄅᆞᆷ, 우ᅀᅮᆷ우ᅀᅵ, 여름, 노피’은 중세국어에서 모두 명사로 쓰인 단어들이다. 서지사항
(16) 중세국어는 신라어를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신라어도 중세국어와 마찬가지로 ‘평음-유기음-경음’의 삼분대립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된다. (16) 중세국어는 신라어를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신라어도 중세국어와 마찬가지로 ‘평음-유기음-경음’의 삼분대립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3. 훈민정음의 자음자와 모음자의 제자원리에 대해 나태내보시오 (10점)
(1) ‘달’과 ‘라면’의 ‘ㄹ’은 각각 다른 음소로 인식된다된다.
2. 형태소에 대해 說明(설명) 하시오.(10점)
(7) ‘흙만으로’의 ‘만’과 ‘읽는다’의 ‘읽’은 어휘형태소이면서 의존형태소이다. (17) 중세국어에서 모음 ‘ㅐ, ㅔ, ㅚ, ㅟ’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었다. 잘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거두세요^^* 1. 국어의 음운규칙에 대해서 설명하시오.(10점) 2. 형태소에 대해 설명하시오.(10점) 3. 훈민정음의 자음자와 모음자의 제자원리에 대해 설명하시오.(10점) 4. 다음 진술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설명하시오.(각 2점) (1) ‘달’과 ‘라면’의 ‘ㄹ’은 각각 다른 음소로 인식된다.
(9) ‘손목, 정답다, 손쉽다’는 모두 합성어들이다.
다.
(20) ‘상형문자, 음절문자, 자모문자, 단어문자’ 중 대표하는 언어단위가 가장 작은 문자는 음절문자이다. (15) 상위어는 항상 하의어를 의미적으로 함의한다. (7) ‘흙만으로’의 ‘만’과 ‘읽는다’의 ‘읽’은 어휘형태소이면서 의존형태소이다. (20) ‘상형문자, 음절문자, 자모문자, 단어문자’ 중 대표하는 언어단위가 가장 작은 문자는 음절문자이다.
(8) ‘코웃음’은 자립형태소만으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출처
2. 형태소에 대해 나태내보시오 (10점)
(11) 연결어미, 종결어미, 어말어미, 전성어미 중 가장 상위의 범주는 종결어미이다.
(10) ‘실하고 바늘을 가져와라’에서 밑줄 친 ‘하고’와 ‘을’은 둘 다 격조사이다.
(6) ‘읽으니, 잠보’는 의존형태소로만 이루어진 단어이다.





(3) ‘닭, 신라, 사람’은 모두 음소의 분포 제약과 관련된 단어들이다. 부족하지만 나름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13) ‘하늘에 떠가는 구름을 보고 있다’에서 밑줄 친 ‘는’은 어말어미이면서 연결어미이다. (8) ‘코웃음’은 자립형태소만으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12) 문장의 종결어미는 문장의 종류를 나타내 주고, 상대경어법을 실현하며 문장의 시제를 나타내 주는 기능을 한다.
설명
(4) ‘국물’이 [궁물]로 발음되는 것이나 영어 spring을 ‘스프링’으로 표기하는 것은 국어의 중화 현상 때문이다
(9) ‘손목, 정답다, 손쉽다’는 모두 합성어들이다.
(2) 일부 단어는 음의 강약에 의해 의미가 변별되기도 한다.
국어학개론 1
(17) 중세국어에서 모음 ‘ㅐ, ㅔ, ㅚ, ㅟ’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었다. (11) 연결어미, 종결어미, 어말어미, 전성어미 중 가장 상위의 범주는 종결어미이다. 부족하지만 나름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17) 중세국어에서 모음 ‘ㅐ, ㅔ, ㅚ, ㅟ’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었다.
(10) ‘실하고 바늘을 가져와라’에서 밑줄 친 ‘하고’와 ‘을’은 둘 다 격조사이다. (2) 일부 단어는 음의 강약에 의해 의미가 변별되기도 한다.
(5) ‘해돋이’가 [해도지]로 발음되는 것은 인접동화이면서 순행동화에 해당하는 예이다.
(4) ‘국물’이 [궁물]로 발음되는 것이나 영어 spring을 ‘스프링’으로 표기하는 것은 국어의 중화 현상 때문이다. (4) ‘국물’이 [궁물]로 발음되는 것이나 영어 spring을 ‘스프링’으로 표기하는 것은 국어의 중화 현상 때문이다.
(20) ‘상형문자, 음절문자, 자모문자, 단어문자’ 중 대표하는 언어단위가 가장 작은 문자는 음절문자이다. (10) ‘실하고 바늘을 가져와라’에서 밑줄 친 ‘하고’와 ‘을’은 둘 다 격조사이다. (9) ‘손목, 정답다, 손쉽다’는 모두 합성어들이다. (6) ‘읽으니, 잠보’는 의존형태소로만 이루어진 단어이다.
(3) ‘닭, 신라, 사람’은 모두 음소의 분포 제약과 관련된 단어들이다. (19) 근대국어의 문법적 특징 중 하나는 현재시제의 선어말어미가 ‘ᄂᆞ’ 하나로 통일된 것이다.
(16) 중세국어는 신라어를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신라어도 중세국어와 마찬가지로 ‘평음-유기음-경음’의 삼분대립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1. 국어의 음운규칙에 마주향하여 나태내보시오 (10점)
(13) ‘하늘에 떠가는 구름을 보고 있다’에서 밑줄 친 ‘는’은 어말어미이면서 연결어미이다.
(19) 근대국어의 문법적 특징 중 하나는 현재시제의 선어말어미가 ‘ᄂᆞ’ 하나로 통일된 것이다.
국어학개론 1 목차 1. 국어의 음운규칙에 마주향하여 나태내보시오 (10점) 2. 형태소에 대해 나태내보시오 (10점) 3. 훈민정음의 자음자와 모음자의 제자원리에 대해 설명하시오
Download : 국어학개론.hwp( 18 )
(5) ‘해돋이’가 [해도지]로 발음되는 것은 인접동화이면서 순행동화에 해당하는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