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사회의 성격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4 07:10본문
Download : 고려 사회의 성격을 어떻게 보아야 할.hwp
: 토지소유자인 지주와 경작자인 전호를 기본적인 생산관계로 파악
②마에다 나오노리 : 직접생산자의 존재형태로 노예제, 봉건적 사회 구분
2. 논의의 alteration(변화)
(2)1960년대, 토지소유론의 고려사회론
고려 사회의 성격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1)1930년대, 사적유물론의 고려사회론
설명
-고려사 연구에서 사회경제사 연구 초석
-반식민사학론의 한 축을 고려사회론을 통해 제기
고려 사회의 성격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
전쟁종식으로 노예공급 중단되면서 노동방식이 농노제로 재편되고 지방세력 대두하면서 봉건제 기초 형성됐다고 보았다.
고려 사회의 성격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논의의 核心은 고려 사회가 신분귀속사회인가 아니면 능력에 의한 성취사회인가 하는 것으로 전자는 귀족제 사회, 후자는 관료제 사회로 보고 있다.
고려 사회의 성격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토지사유가 어느 시기에 시작되었는가에 따라 성격 이해 차이
고려 사회의 성격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고려 사회의 성격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고려 사회의 성격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하타다~하마나카 : 공동체적 토지소유가 지배적인 시기(고려전기를 사적소유 결여된 고대사회로 봄)
.
①백남운 : 고려사회를 봉건사회로 봄 박종기, <고려사회 성격론>, 《한국전근대사의 주요쟁점》, (역사비평사, 2002), p. 125
.
-무인정권이 성립한 12세기 후반을 전후로 하여 각각 노예제와 봉건제 병존
-유물사관에 입각해서 고려사 체계화
고려 사회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고려사 연구 초기부터 상당히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순서
고려 사회의 성격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Download : 고려 사회의 성격을 어떻게 보아야 할.hwp( 36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①일본인 연구자들 : 고대적 요소 검출하는데 주력
고려 사회의 성격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다. (지난 시간에 발표자들과 교수님께서 언급하신대로) 고려 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지에 따라 통일신라와 조선을 이해하는 데에도 상당히 다른 관점을 가지게 된다. 물론 고려 유적과 유물의 대부분이 수도인 개경을 중심으로 북한 녘에 많이 위치하고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 본격적인 접근 또한 해방 이후에 이루어졌지만 고려사회의 성격은 비단 그 시대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한국사 연구 전체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기에 주목받아 왔다. 이 글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구 성과와 그에 따라 고려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이 어떻게 alteration(변화) 해 왔는지 살펴보고 현재는 어떠하며 지금의 우리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그러한 성격으로 규정하는 데에는 음서제가 과거제가 중심에 있고 각 입장의 논거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