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공정서의 한약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19 14:01
본문
Download : [의학] 공정서의 한약재.hwp
그러나 건강한 사람이 한의사나 한약사의 처방 없이 임의로 섭취하면 식품으로 취급된다된다.
[의학] 공정서의 한약재
설명
공정서의 한약재
1) 공정서 수재 한약재
우리나라의 공정서에 수재되어 있는 한약재는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한약재를 포함하여 총 546품목이다.
□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한약재
가시연꽃 씨앗(검인), 갈대뿌리(노근), 감초, 개다래나무 열매(목천료), 겐티아나, 겨우살이(곡기생), 고량강, 고본, 고수열매 (호유자), 구기자, 구기자뿌리(지골피), 구절초, 국화(감국), 귤나무 열매껍질(진피), 금불초(선복화), 금앵자, 금은화(인동), 금은화, 꿀풀(하고초), 녹각, 녹용, 단삼, 당귀, 대회향(팔각회향), 도라지(길경), 독활, 동과씨(동과자), 두충, 띠(모근), 만삼(당삼), 맥문동, 모싯대(제니), 몰약, 무우 씨(내복자), 민들레(포공영), 박하, 배초향(곽향), 백강잠, 백리향(사향초), 백수오, 백합, 복령, 복분자, 복신, 비자, 비파엽, 뽕나무 열매(상심자), 뽕나무가지(상지),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사상자, 사인, 사철쑥(인진호), 사프란, 산대추(산조인), 산사, 산수유, 산약, 삼씨(마인), 삽주뿌리(백출), 생강(건강), 생지황, 석창포, 쇠무릅(우슬), 숙지황, 아출(봉출), 알로에(노회), 어성초, 엄나무껍질(해동피), 엉겅퀴(대계), 연 씨(연자육), 연 잎(하엽), 오가피, 오미자, 옥수수수염(옥촉서예), 왕느릅나무 껍질(유백피), 용안육, 원…(skip)
순서
[의학] 공정서의 한약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의학] 공정서의 한약재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공정서 한약재
![[의학]%20공정서의%20한약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20%EA%B3%B5%EC%A0%95%EC%84%9C%EC%9D%98%20%ED%95%9C%EC%95%BD%EC%9E%AC_hwp_01.gif)
![[의학]%20공정서의%20한약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20%EA%B3%B5%EC%A0%95%EC%84%9C%EC%9D%98%20%ED%95%9C%EC%95%BD%EC%9E%AC_hwp_02.gif)
레포트/의약보건
의학,공정서,한약재,의약보건,레포트
Download : [의학] 공정서의 한약재.hwp( 31 )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의학] 공정서의 한약재
다. 그러므로 식품으로 취급될 경우 농수산부에서 관리하게 되고, 한약으로 취급될 경우 보건복지가족부에서 관리하게 된다된다. 우리나라의 약전에 규정된 534종의 한약재 중에서 식품으로 사용이 가능한 한약재는 갈근, 감초 등 117품목이다. 여기에는 대한약전에 181품목, 대한약전 외 한약 규격집에 356종이 수재되어 있다아
2) 식품의 원료로 사용 가능 한약재
한약재는 한의학적 원리에 따라 치료의 목적으로 한의사의 처방이나 한약사의 조제에 의하여 환자에게 투여되면 한약이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