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의학] 치매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7 01:59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의학] 치매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hwp
그리고 이러한 증상들은 직업활동과 사회활동에 장애를 초래할 정도로 심각해야 한다. 따라서 치매의 진단을 내리려면 환자의 과거 지적기능 (intellectual function)이 정상범주에 속해야 할 뿐만 아니라 치매에 해당하는 증상들이 수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즉 정신지체 (mental retardation)와 급성 대사성 상태 (acute metabolic state) 혹은 독성상태 (toxic condition)로 인한 일시적인 착란 (confusion)을 보이는 환자에게는 치매라는 진단을 붙일 수 없다.
DSM-IV (1994)에 의하면 치매의 진단을 위해서는 기억장애 외에 인지결함 (cognitive deficit)과 실인증 (agnosia), 실어증 (aphasia), 실행증 (apraxia) 혹은 수행기능의 장애(impairment of executive function) 중 최소한 한가지 이상이 동반되어야 한다. 인지결함이 섬망상태 (delirious state)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치매의 진단을 붙일 수 없지만 섬망상태가 사라진 후에도 신경인지 기능장애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치매와 섬망의 진단을 동시에 붙일 수 있다 ICD-10 (1992)의 진단기준도 증상이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와 유사하다.
치매는 주로 내과적 혹은 신경과적 원인(原因)으로 인하여 중추신경계의 일시적 혹은 영구적 손상이 발생함으…(省略)
레포트/의약보건
[의학,약학][의학] 치매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
[의학,약학][의학] 치매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 , [의학,약학][의학] 치매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의학] 치매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
다. 또한 국소적인 뇌병소 (focal brain lesion)로 인하여 실어증 (aphasia)이나 기억장애가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도 치매진단을 붙일 수 없다.[의학,약학][의학] 치매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
[의학,약학][의학],치매에,관한,전반적인,설명,의약보건,레포트
![[의학,약학][의학]%20치매에%20관한%20전반적인%20설명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EC%B9%98%EB%A7%A4%EC%97%90%20%EA%B4%80%ED%95%9C%20%EC%A0%84%EB%B0%98%EC%A0%81%EC%9D%B8%20%EC%84%A4%EB%AA%85_hwp_01.gif)
![[의학,약학][의학]%20치매에%20관한%20전반적인%20설명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EC%B9%98%EB%A7%A4%EC%97%90%20%EA%B4%80%ED%95%9C%20%EC%A0%84%EB%B0%98%EC%A0%81%EC%9D%B8%20%EC%84%A4%EB%AA%85_hwp_02.gif)
![[의학,약학][의학]%20치매에%20관한%20전반적인%20설명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EC%B9%98%EB%A7%A4%EC%97%90%20%EA%B4%80%ED%95%9C%20%EC%A0%84%EB%B0%98%EC%A0%81%EC%9D%B8%20%EC%84%A4%EB%AA%85_hwp_03.gif)
![[의학,약학][의학]%20치매에%20관한%20전반적인%20설명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EC%B9%98%EB%A7%A4%EC%97%90%20%EA%B4%80%ED%95%9C%20%EC%A0%84%EB%B0%98%EC%A0%81%EC%9D%B8%20%EC%84%A4%EB%AA%85_hwp_04.gif)
![[의학,약학][의학]%20치매에%20관한%20전반적인%20설명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EC%B9%98%EB%A7%A4%EC%97%90%20%EA%B4%80%ED%95%9C%20%EC%A0%84%EB%B0%98%EC%A0%81%EC%9D%B8%20%EC%84%A4%EB%AA%85_hwp_05.gif)
![[의학,약학][의학]%20치매에%20관한%20전반적인%20설명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EC%B9%98%EB%A7%A4%EC%97%90%20%EA%B4%80%ED%95%9C%20%EC%A0%84%EB%B0%98%EC%A0%81%EC%9D%B8%20%EC%84%A4%EB%AA%85_hwp_06.gif)
순서
Download : [의학,약학][의학] 치매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hwp( 67 )
설명
치매
1. 치매의 정이
치매는 언어력 (language), 기억력 (memory), 시공간 기능 (visuospatial skill), 인격 (personality) 및 인지력 (cognition)과 같은 정신활동 중 최소한 3가지 이상의 영역에 장애가 발생함으로써 지적기능의 지속적인 장애가 후천적으로 초래되는 질병군으로 정이되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