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악부 - 정의(定義) 명칭 형성경위 의의 익재 이제현과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18 12:19
본문
Download : 소악부 - 정의 명칭 형성경위 의의.hwp
”라 하였고, 또한 그 疏에는 “태사는 음악을 주관하는 관리로서 각기 그 나라의 시를 펴서 정치의 선악을 살폈다. 한시라도 표현이나 정서에서는 우리 문학다운 면모를 갖추어야 하겠다는 자각이 일어나서 그런 작품의 출현을 보게 되었다.”라 한 것을 보면 太師 ․ 行人 ․ 采詩之官 등은 모두 政府(정부)의 관리, 혹은 관의 명령에 의거하여 시를 채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소악부 - 정의(定義) 명칭 형성경위 의의 익재 이제현과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1.1 소악부의 정이
순서
소악부는 고려 후기 이제현(李齊賢)과 민사평(閔思平)이 쓴 한시 17편을 말한다. 민사평의 작품은 <급암선생시고(及庵先生詩藁)>에 6편이 실려 있다 이 열일곱 편은 물론 이제현과 민사평이 적은 것이지만, 그 내용을 보면 우리말로 된 노래를 한시로 옮긴 것임을 금방 알 수 있다 실제로 이들 노래에는 고려가요인 <처용가>나 <정석가>, <쌍화점>과 같은 노래들의 전부 혹은 일부를 그대로 한시로 옮긴 작품들이 있다
.
유행하던 우리말 노래를 한시로 옮긴 것을 中國의 용어를 사용해 악부(樂府)라고 하고, 칠언절구의 짧은 형식을 사용했으므로 소(小)자를 얹었다. 그 다음에는 소악부의 의의에 관련되어 알아보고 이제현과 민사평의 소악부를 구체적인 작품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라 하였고, “옛날에 시를 채집하는 관리가 있었다. 소악부의 정이와 명칭 ․ 형성경위를 알아보는 것은 소악부의 concept(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2 소악부의 명칭
소악부 - 정이 명칭 형성경위 의의 익재 이제현과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
소악부는 다양한 주제와 소재를 통해 고려후기 민중의 생활상을 잘 표현해 내고 있어 우리말로 전해지는 고려가요와 함께 이 시대 민중문학의 숨결을 짐작하는 좋은 data(자료)다. 소악부 덕분에 속악가사를 다른 측면에서 재검토하고, 속악가사로 전하지 않는 우리말 노래까지 어느 정도 알아볼 수 있다 조동일, 前揭書, p.155.
속악가사와 소악부(小樂府)라는 이름으로 이제현(李齊賢, 1286~1367)과 민사평(閔思平, 1291~1359)이 남긴 일련의 한시는 관련이 있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6), p.155.
그런데 前漢의 武帝(BC 140-BC 87) 때에는 樂府라는 음악을 관장하는 관서를 창설하여 민가를 수집하였으며, 그
설명
Download : 소악부 - 정의 명칭 형성경위 의의.hwp( 77 )
다.”라 하여 詩敎를 정립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漢書』에도 “음력 10월에 행인이 목탁을 치며 도로를 돌아다니면서 시를 채집하여 태사에게 드렸다.”라고 하였으며, 그 註에는 “시를 편다는 것은 시를 채집하여 그것을 보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작품들을 감상하고 난 후에는 소악부의 형식적 property(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소악부 - 정의(定義) 명칭 형성경위 의의 익재 이제현과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Ⅱ. 본론
본고에서는 먼저 소악부의 정이와 그 명칭 ․ 형성경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제현의 소악부는 <익재난고(益齊亂藁)>에 11편이 전한다.
소악부 - 정의 명칭 형성경위 의의 익재 이제현과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소악부 - 정의 명칭 형성경위 의의 익재 이제현과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소악부 - 정의 명칭 형성경위 의의 익재 이제현과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1. 소악부란?





소악부 - 정의(定義) 명칭 형성경위 의의 익재 이제현과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소악부의 명칭에 관련되어는『禮記』 王制편에 보면 “천자는 5년에 한 번…<중략>…순수하는 데 태사에게 명하여 시를 진열케 하며 백성의 풍속을 본다. 왕은 소이 풍속을 살펴서 득실을 알았으며 스스로 돌아보고 바로잡았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周나라 시대에 采詩官(채시관)을 두어 민간가요를 채집하여 각지의 민정과 민속을 살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한편 “온유돈후를 시로써 가르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