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지도자론] 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 결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06 16:16
본문
Download : 20054-2학기간호지도자론과제물.hwp
따라서 리더십의 definition 은 포괄적인 의미를 띠고 있으며, 이러한 리더십에 관한 theory(이론) 역시 매우 다양하여, 지도자 개인의 속성 및 자질을 강조하는 접근방법인 속성 론, 또 권위적․민주적․자유방임적 리더십과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연구, 블레이크와 모턴(R. Blake & J.S. Mouton)의 매니지리얼 그리드(Managerial Grid : 관리망) theory(이론) 등과 같은 행…(To be continued )
Download : 20054-2학기간호지도자론과제물.hwp( 24 )
순서
다.
[간호지도자론] 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 결정
방송통신/기타






허시와블랜챠드상황모형,조직의구성원성숙도,지도자행동스타일,리더십,기타,방송통신
Ⅰ. 서 론, , Ⅱ. 본 론, 1. 허시와 블랜챠드의 리더십 상황모형, (1) 리더(지도자)의 행위와 상황요인, ① 과업행위(task behavior : '구조주도' 개념), ② 인간관계행위(relationship behavior : '배려' 개념), ③ 부하의 성숙도(maturity : 상황요인 - '준비성' 개념), (2) 리더(지도자)의 행동유형, ① 지시적 리더(telling leadership), ② 설득적 리더(selling leadership), ③ 참여적 리더(participating leadership), ④ 위양적 리더(delegating leadership), (3) 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 이론에 대한 평가 및 비판, 2. 자신이 속한 조직구성원의 성숙도 사정, 3. 실제 조직의 지도자 사정, 4. 조직에서의 적절한 지도자 행동유형, , Ⅲ. 결 론, FileSize : 46K , [간호지도자론] 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한 지도자 행동 스타일 결정기타방송통신 , 허시와블랜챠드상황모형 조직의구성원성숙도 지도자행동스타일 리더십
Ⅰ. 서 론, , Ⅱ. 본 론, 1. 허시와 블랜챠드의 리더십 상황모형, (1) 리더(지도자)의 행위와 상황요인, ① 과업행위(task behavior : '구조주도' 槪念), ② 인간관계행위(relationship behavior : '배려' 槪念), ③ 부하의 성숙도(maturity : 상황요인 - '준비성' 槪念), (2) 리더(지도자)의 행동유형, ① 지시적 리더(telling leadership), ② 설득적 리더(selling leadership), ③ 참여적 리더(participating leadership), ④ 위양적 리더(delegating leadership), (3) 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 이론에 대한 평가 및 비판, 2. 자신이 속한 조직구성원의 성숙도 사정, 3. 실제 조직의 지도자 사정, 4. 조직에서의 적절한 지도자 행동유형, , Ⅲ. 결 론, filesize : 46K
설명
Ⅰ. 서 론
Ⅱ. 본 론
1. 허시와 블랜챠드의 리더십 상황모형
(1) 리더(지도자)의 행위와 상황요인
① 과업행위(task behavior : '구조주도' definition )
② 인간관계행위(relationship behavior : '배려' definition )
③ 부하의 성숙도(maturity : 상황요인 - '준비성' definition )
(2) 리더(지도자)의 행동유형
① 지시적 리더(telling leadership)
② 설득적 리더(selling leadership)
③ 참여적 리더(participating leadership)
④ 위양적 리더(delegating leadership)
(3) 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 theory(이론)에 대한 평가 및 비판
2. 자신이 속한 조직구성원의 성숙도 사정
3. 실제 조직의 지도자 사정
4. 조직에서의 적절한 지도자 행동유형
Ⅲ. 결 론
실제 사회에서도 지도력․통솔력․지휘권․감독․선도력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하고 있는데, formula(공식)적인 지도자는 formula(공식)조직에 의한 직위권력에 근거한 influence(영향)력에 바탕을 둔 관리자라 할 수 있고, 비formula(공식)적인 지도자는 감정이나 습성을 기초로 한 자생적인 집단의 지도자로서, 경우에 따라서 지도자의 리더십은 비formula(공식)적 리더십에 의해 강화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리더십을 논할 때 formula(공식)적인 의미의 influence(영향)력보다는 직원들의 자발적인 노력을 확보할 수 있는 비formula(공식) 리더의 influence(영향)력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