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기술] 자연과 사람을 고려해서 지어진 한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5 16:27
본문
Download : [공학기술] 자연과 사람을 고려해서 지어진 한옥.hwp
이처럼 집은 쾌적한 온도과 습도 등의 신체적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마루는 남쪽의 따뜻한 지방으로부터 발전하여 북쪽으로 전파되었다. 있는 그대로의 자연 環境을 이용해 우리 생활에 적합하도록 일조와 통풍 및 조형 계획을 세운다. 한옥에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게 된 것은 추운 지방과 따뜻한 지방이 결합하는 것에서 연유한다. 하지만 쾌적한 온도 조건을 만들려고 처마를 깊숙이 빼다보면 자칫 집안이 어두워질 수 있다
그래서 처마를 깊숙이 빼면서도 집안을 밝게 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마당에 잔디를 심는 대신 마사토를 깔아 마당에 반사된 태양 빛을 실내로 끌어들인다.
설명
Download : [공학기술] 자연과 사람을 고려해서 지어진 한옥.hwp( 17 )
공학기술,자연과,사람,고려해서,지어진,한옥,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자연과 사람을 고려해서 지어진 한옥
우리 나라의 전통 주거는 한옥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실내 環境을 만들 수 있으며, 여름을 시원하게 날 수 있는 것이다.
구들과 마루
구들과 마루는 한옥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큰 특징이다.
[공학기술] 자연과 사람을 고려해서 지어진 한옥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한옥의 특징
한옥은 온돌과 마루가 공존하며,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고구려의 구들은 방의 한편에만 설치하는 쪽구들이었다. 이는 겨울에 폭설로 인해 바깥출입이 불가능하더라도 불을 지필 수 있게 하기 위한 기능적인 문제가 고려된 시설로 보여진다. 이는 사계절의 냉난방 조건을 충족시키는 한옥만의 독특한 구조이다.
그리고 처마를 깊숙이 뺀다는 것은 여름에 실내로 들어오는 태양 광선을 막고자 하는 것이다. 이 쪽구들은 고구려를 거쳐 백제와 발해에 이르기까지 실내의 한쪽에 아궁이를 설치하여 불을 지피도록 한 구조였다. 이 마루는 한옥에 있어서 남방적인 특…(투비컨티뉴드 )
다. 이 한옥은 산자락에 의지해 지으면서 결코 산을 깎거나 하지 않는다. , [공학기술] 자연과 사람을 고려해서 지어진 한옥공학기술레포트 , 공학기술 자연과 사람 고려해서 지어진 한옥
[공학기술] 자연과 사람을 고려해서 지어진 한옥
[공학기술] 자연과 사람을 고려해서 지어진 한옥
순서
![[공학기술]%20자연과%20사람을%20고려해서%20지어진%20한옥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EC%9E%90%EC%97%B0%EA%B3%BC%20%EC%82%AC%EB%9E%8C%EC%9D%84%20%EA%B3%A0%EB%A0%A4%ED%95%B4%EC%84%9C%20%EC%A7%80%EC%96%B4%EC%A7%84%20%ED%95%9C%EC%98%A5_hwp_01.gif)
![[공학기술]%20자연과%20사람을%20고려해서%20지어진%20한옥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EC%9E%90%EC%97%B0%EA%B3%BC%20%EC%82%AC%EB%9E%8C%EC%9D%84%20%EA%B3%A0%EB%A0%A4%ED%95%B4%EC%84%9C%20%EC%A7%80%EC%96%B4%EC%A7%84%20%ED%95%9C%EC%98%A5_hwp_02.gif)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이 고구려계열의 쪽구들에서 오늘의 방 전면을 난방하는 온돌방이 되기까지는 발해 이후의 구들을 살펴보아야 하는데, 이 과도기 단계의 구들은 고려시대에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오늘날 온돌방의 정착은 조선조 사람들이 온돌방을 욱실이라 부르던 것으로 보아 조선조에 이르러서야 확고해 진 듯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