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의 인간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0 08:20
본문
Download : 마르크스의 인간관.hwp
다들 좋은 레포트 쓰시길 바랍니다. . 인간에게 영원하고 고정된 본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론(理論)은 역설적인데 왜냐하면, 고정된 인간본성에 대한 부정을 의미하면서 인간본성에 대한 또 하나의 규정이기도 하기 때문일것이다
• 베너블의 해석에 의한 마르크스의 인간관 : 인간과 history(역사) 는 동일하다.
• 마르크스주장의 the gist - 인간의 노동이 인간성 자체를 變化시킬 수 있다는 것이며, 노동의 성격이 계급구조를 결정하기 때문에 사회의 계급구조는 그것에 속하는 인간의 성격을 history(역사) 적으로 규정하며 이에 따라 인간본성의 발전 방향도 결정한다. 인간은 history(역사) 를 變化시키며 바로 그 때문에 자신을 變化시킨다. 즉 인간은 history(역사) 의 다른 측면이며, history(역사) 또한 인간의 다른 측면에 불과하다. 그리고 그러한 의미에서 모든 history(역사) 는 진실로 인간본성의 끊임없는 변천이외에 아무것도 아닐것이다.
1. 베너블의 해석
2. 제라스의 해석
1. 베너블의 해석
• 무한변형론 : 인간은 무한한 방식으로 變化달 수 있고, 어떠한 형태로도 조형가능한 존재이므로 인간을 결정론적으로 지배하는 생물학적 본성이나 고정된 본질은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적 필요는 자연을 통해 충족될 수밖에 없으므로 자연과 인간 사이의 신진대사로서 노동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고정된 인간본성을 주장하는 고전경제학자들의 자유주의적 자유는 탐욕의 자유이기 때문에 보편적 자유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history(역사) 적으로 한정된 의미의 부르조아적 자유이다. !~ , 마르크스의 인간관인문사회레포트 ,
부족하지만 나름대로 정성들여 요약된 資料로써,



설명
Download : 마르크스의 인간관.hwp( 95 )
마르크스의 인간관
,인문사회,레포트
마르크스의 인간관에 대한 리포트입니다.마르크스의 인간관에 대한 배너블과 제라스의 해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다들 좋은 레포트 쓰시길 바랍니다. 부족하지만 나름대로 정성들여 정리된 자료로써, 아무쪼록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마르크스의 인간관에 대한 리포트입니다.
다.
• 무한변형론적 인간본성과 혁명론의 관계 : 인간은 스스로의 의도적, 사회적 노동에 의해서 생산양식을 …(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마르크스의 인간관에 대한 배너블과 제라스의 해석에 대한 資料입니다.
그러한 해석의 근거
• 마르크스의 노동槪念 : 최초의 history(역사) 는 인간적 필요(Human Needs: 인간이 스스로의 생존을 위하여 충족시켜야 하는 것)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의 생산, 즉 물질적 삶의 생산 그 자체이다.
• 마르크스의 고정된 인간槪念비판 : 인간의 영원한 본성이란 부르조아적 사회관계의 추상화에 불과하며, 사회관계를 떠난 추상화된 개인이란 부르조아자신의 세속적인 욕망을 추상화한것에 지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