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대 시의 인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7 14:27
본문
Download : 1910년대 시의 인식.hwp
순서
1. 계몽성과 교훈성의 점차적인 쇠퇴
.
Download : 1910년대 시의 인식.hwp( 94 )
⇒ 민족 계몽 의식을 주제로 한 문학이 등장. 서구 문학의 기법과 의식이 수용됨.
2) 주요한 : 김억과 함께 초기 근대시의 형성에 크게 기여한 인물. 활발한 처음 (詩作)활동과 작시법(作詩法) 에 관한 깊이 있는 논의를 펴 나감으로써, 우리 시가 새롭게 改善(개선) 해야 할 체질적 면모들에 대해 상당히 발전적인 지침을 제시.
1. 일제 강점기로서 민족의식이 높아지던 때.
1910년대 시의 인식
Ⅱ. 1910년대 시문학의 특징
근대적 교육을 통해 서구적인 교양을 습득한 동경 유학생들이었음. 특히 김억, 주요한 등은 전단계의 시가
1910년대 시의 인식
1910년대 시의 인식
1910년대 시의 인식 1910년대 시의 인식 1910년대 시의 인식 1910년대 시의 인식 1910년대 시의 인식 1910년대 시의 인식
본격 근대시로서의 성격을 확립하게 됨.
1910년대 시의 인식
2. 새로운 시인들의 등장
1910년대 시의 인식
: 계몽적 목적의식의 탈피와 자유로운 정서표출을 위한 자유시 형태의 개발이 요구됨. 그것을 담당한 것이
1910년대 시의 인식
⇒ 집단적 의지나 계몽적 목적성을 앞세우기보다는, 새로운 형식적 틀을 통해 개성적 차원에서 개인의 정서 적 reaction 을 노래한 서정시로서의 특징을 지닌 시가 새롭게 등장.
1) 조선 총독부의 무단 정치 하에 자주 독립의 문제는 점차 도외시되고 문명개화 문제에 초점을 맞춤.
- 심혼시 : 시인 자신의 목소리가 곧 자기의 영혼의 목소리임을 증명하는 일. (프랑스의 상징주의 시)
.
1910년대 시의 인식
설명
2) 신체시 또한 새로운 시적 각성을 앞세운 세대들에 의해 보다 발전적 면모를 띤 형태로 변모․극복되어,
1) 김억 : 『학지광』에 작품을 발표하면서 문학 활동을 본격화. 전단계적인 신체시의 결함을 극복하고 개 인적 서정의(定義) 세계를 새로운 시형으로 노래. 또한 그가 중심역할을 맡았던 『태서문예신보』는 서구 문예의 intro 와 번역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였으므로, 우리의 초기 근대시사에서 매우 중 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될 수 있음.


보여준 ‘이념형’으로서의 문학성을 탈피하고자 Japan을 통해 수용한 서구의 근대문예사조를 관심 있게 바라 보고, 실제 우리나라에 intro 하고자 많은 노력을 함.
.
3. 배역시에서 심혼시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1910년대 시의 인식
2. 신문학의 흐름이 계속되면서도 서구 문학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새로운 기법과 의식을 담은 현대 문학이 출현.
- 배역시 : 시인이 배우가 되어 극중 인물의 역할을 하는 것. (최남선의 시)
1910년대 시의 인식
1) 최남선의 배역시에서 김억이 번역, intro 한 상징주의 시에 이르는 과정이야말로 1910년대 한국 시의 인식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