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신앙에 비추어본 기중심적 환경윤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7 15:34
본문
Download : 창조신앙에 비추어본 기중심적 환경윤리.hwp
①은 창조 이전의 얘기를 전해주며, 혼돈 위에 하느님의 기운이 휘돌고 있었음을 말한다. . 옛 히브리인에게 무라는 concept(개념)은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 형체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본래 기도 없었다. 쿠르트 마르티, 『창조신앙』, 이제민 옮김, 분도출판사, 15-16쪽 참조.
여기서 중요한 것은 生滅의 가능성을 결정하는 요소인 ‘하느님의 기운’이다.(창세 1,1)
인간이 태어나기 전 시초에는 생명이 없었다. 창조 이전엔 깊은 물과 어둠만이 있었으나 그것은 無도 아니며 무로부터의 創造도 아닐것이다.…(drop)
,인문사회,레포트
① 창조신앙
창조신앙에 비추어본 기중심적 환경윤리
② 기중심적 환경윤...
다. 2. 퓨뉴마(pneuma-하느님의 숨)와 氣의 용어 비교
Download : 창조신앙에 비추어본 기중심적 환경윤리.hwp( 40 )
2. 퓨뉴마(pneuma-하느님의 숨)와 氣의 용어 비교 2.1. 하느님의 기운과 氣 ① 창조신앙 ② 기중심적 환경윤... , 창조신앙에 비추어본 기중심적 환경윤리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2.1. 하느님의 기운과 氣






2. 퓨뉴마(pneuma-하느님의 숨)와 氣의 용어 비교
2.1. 하느님의 기운과 氣
① 창조신앙
② 기중심적 環境(환경)윤리
땅은 아직 모양을 갖추지 않고 아무것도 생기지 않았는데, 어둠이 깊은 물 위에 뒤덮여 있었고 그 물 위에 하느님의 기운이 휘돌고 있었다. 그저 흐릿하고 어두운 가운데 섞여 있다가 변해서 기가 생기고 기가 변해서 형체가 생기며, 형체가 변해서 생명이 탄생되었다.(莊子 - 至樂편)
이 두 내용은 극명한 차이를 나타낸다. 여기엔 (창조의 암시와 함께) 다시 혼돈으로 가라앉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암시되어 있다 創造를 이야기하는 사람은 이로써 無의 가능성도 이야기하는 것이다. 생명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본래 형체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