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공자,맹자,순자의 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02 21:11
본문
Download : 유학공자맹자순자의사상.hwp
(87) --> 공자이후 : 선비가 등장 -"자하/ 벼슬하다 여력있으면 학문을 하고, 학문을 하다 여력있으면 벼슬을 한다. 3) "(義를) 중단하지 말고, 망각하지도 말고, 조장하지도 말아야 한다"[勿正(止), 心勿忘, 勿助長] * 대장부 - "천하의 넓은 저택(廣居펀:仁)에 거하고, 천하의 바른 입장(正位;體)에 서고, 천하의 대도(大道:義)를 가는 것이 된다된다." - 함양방법 1) 의와 도를 배합함(配義與道) 2) 지속적으로 의를 내면에 축적한다[集義] - 고자는 의를 외적인 것으로 여겼다.공자의사상,맹자의사상,순자의사상,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1>공자의 사상, 1. 공자의 사생활, 2. 교육자로서의 공자[공자의 학문방법], 3. 공자의 尊周思想 , 4. 전통신앙에 대한 태도, 5. 계술을 통한 창작자로서의 공자, 6. 공자의 正名論, 7. 예(禮)와 의(義) /이(利), 8. 예(禮)악(樂)와 인(仁), 9. 정직(直)과 예(禮), 10. 인(仁) [ 설문해자, 단옥재의 주 人+二 ], 11. 공자의 性論, 12. 종 합, , <2>맹자의 사상, 1. 맹자의 사생활, 2. 맹자의 대화법, 3. 周제도와 맹자, 4. 맹자의 정치 경제사상[王道정치와 井田制], 5. 성선설(性善說) (性)( 性=人+生), 6. 인간 분류, 7. 맹자의 반공리주의, 8. 맹자의 天 개념, 9. 맹자의 浩然之氣(3-2), , <3>순자의 사상, 1)성(性) , 2)정(情) , 3)려( ), 4)위(僞) , , FileSize : 116K , 유학(공자,맹자,순자의 사상)인문사회레포트 , 공자의사상 맹자의사상 순자의사상
설명






Download : 유학공자맹자순자의사상.hwp( 23 )
<1>공자의 사상
1. 공자의 사생활
2. 교육자로서의 공자[공자의 학문방법]
3. 공자의 尊周思想
4. 전통신앙에 대한 태도
5. 계술을 통한 창작자로서의 공자
6. 공자의 正名論
7. 예(禮)와 의(義) /이(利)
8. 예(禮)악(樂)와 인(仁)
9. 정직(直)과 예(禮)
10. 인(仁) [ 설문해자, 단옥재의 주 人+二 ]
11. 공자의 性論
12. 종 합
<2>맹자의 사상
1. 맹자의 사생활
2. 맹자의 대화법
3. 周제도와 맹자
4. 맹자의 정치 경제사상[王道정치와 井田制]
5. 성선설(性善說) (性)( 性=人+生)
6. 인간 분류
7. 맹자의 반공리주의
8. 맹자의 天 槪念
9. 맹자의 浩然之氣(3-2)
<3>순자의 사상
1)성(性)
2)정(情)
3)려( )
4)위(僞)
공자는 "스스로 생산활동에 종사하지 않았을뿐더러. 제자들에게 생산에 종사는 하는 것도 원하지 않았다."(19-13) -법가의 증오대상이 됨(한비자: 974/ 1057-67)(90-91) * 호연지기 : 개인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경지 속의 정신 상태(212) / 두려움이없는 마음(용기) 인간과 하늘의 기(氣)가 합일된 초도덕적 가치 -"호연지기, 그것은 지극히 크고 지극히 굳세다."(88 /13-4/ 11-19) - 공자의 노동 경시(노동하는자 = 소인:13-4); . "손가락하나 꿈쩍이지 않고 오곡도 분간 못하"는 사람,<四體不勤,五穀不分>(18-7) <사기> '공자세가' 안영의 비판 / <장자> 도척의 비판 : (88) - 끊임없이 임금들에게 유세하며 학생들을 데리고 여러나라를 돌아다녔다. 정치적인 입지를 이루면 뭇백성과 더불어 도를 행하지만, 입지를 이루지 못하면 홀로 자기의 도를 행한다. 부귀에도 현혹되지 않고 빈천에도 동요되지 않고, 위세나 무력에도 …(drop)
유학(공자,맹자,순자의 사상)
순서
<1>공자의 사상, 1. 공자의 사생활, 2. 교육자로서의 공자[공자의 학문방법], 3. 공자의 尊周思想 , 4. 전통신앙에 대한 태도, 5. 계술을 통한 창작자로서의 공자, 6. 공자의 正名論, 7. 예(禮)와 의(義) /이(利), 8. 예(禮)악(樂)와 인(仁), 9. 정직(直)과 예(禮), 10. 인(仁) [ 설문해자, 단옥재의 주 人+二 ], 11. 공자의 性論, 12. 종 합, , <2>맹자의 사상, 1. 맹자의 사생활, 2. 맹자의 대화법, 3. 周제도와 맹자, 4. 맹자의 정치 경제사상[王道정치와 井田制], 5. 성선설(性善說) (性)( 性=人+生), 6. 인간 분류, 7. 맹자의 반공리주의, 8. 맹자의 天 개념, 9. 맹자의 浩然之氣(3-2), , <3>순자의 사상, 1)성(性) , 2)정(情) , 3)려( ), 4)위(僞) , , 다운로드 : 116K
다... 공자이전에는 농사도 공업도 장사도 벼슬도 하지 않고 오직 강학만을 직업삼아 생계를 도모한 사람은 없었다. 아무런 방해없이 올바로 함양할 수 있으면 온 천지를 충만시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