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영양과건강 >식품에 대한 위생관리 measure(방안) 으로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HACCP에 마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4 13:22
본문
Download : [HACCP]_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제도.hwp
ex) FDA의 세 가지 위해분류
- 環境(환경)보건학과 3학년 영양과건강 B형 참고자료(資料)입니다
- 환경보건학과 3학년 영양과건강 B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강영재(1990), 식품오염원으로서의 공중부유 미생물의 특성과 그 측정, 식품과학과 산업, 23(3), pp.97∼102. 김정원(2000), 최근에 문제시되는 식중독과 세균성 이질의 특징, 발생현황 및 그 대책, 영양사 교육자료집, 대한영양사회, pp.9∼14. 류은순(1999), 부산·경남지역 사업체 급식종사자들의 위생적인 작업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 식품영양과학회지 28(4), pp.942∼947. 박용만(1999), 단체급식에서의 HACCP 적용, 제일제당 F/S 사업부, 식품산업과 영양집, pp.3 0∼33. 배현주(2001), 단체급식소의 위생관리실태와 HACCP 제도 도입에 따른 개선효과, 숙명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38∼57.
류은순(1999), 부산·경남지역 사업체 급식종사자들의 위생적인 작업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 식품영양과학회지 28(4), pp.942∼947.
5. 선진 외국의 HACCP 제도의 적용현황
중요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 CCP)
순서
6. HACCP의 적용 범위
① 제품에 통상적 환경에서 잠재적 오염원이 될 수 있는 성분이 있는가?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10. 일반적인 CCP
배현주(2001), 단체급식소의 위생관리실태(實態)와 HACCP 제도 도입에 따른 개선효능, 숙명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38∼57.
8. HACCP 제도의 도입배경
중요관리점의 한계기준(Critical Limit)
2. 7가지 기본원칙
위해요소 중점관리 기준제도를 시행하는데 필요한 7가지의 기본원칙을 보면 다음과 같다.
● 원칙
改善(개선) 조치(Corrective Action)
박용만(1999), 단체급식에서의 HACCP 적용, 제일제당 F/S 사업부, 식품산업과 영양집, pp.3 0∼33.
② 제조 공정중 미생물 사멸을 위한 공정이 있는가?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검증(Verification)
위해요소(Hazard)
한편, Codex위생분과위원회에서는 위해요소 중점관리 기준제도를 식품위생의 일반원칙으로 채택하고 각국에서 이를 시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아 우리나라의 경우는 1995년 12월 식품위생법 제31조 2항(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을 신설하여 HACCP의 시행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즉 위해요소의 방지 및 관리기법을 마련하기 위한 예방 관리제도이다.
영양과건강,위생관리,위생관리방안,haccp
● HACCP의 definition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제도(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 HACCP)는 식품을 제조, 가공, 포장, 유통 등의 전반적인 단계에서 각 공정별로 위해요소가 발생할 수 있는 중요관리점을 파악하여 그 관리 점에서 위해가 발생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관리기준을 설정하여 시행하는 제도이다.
강영재(1990), 식품오염원으로서의 공중부유 미생물의 특성과 그 측정, 식품과학과 산업, 23(3), pp.97∼102.
(식품의 원료로 부터 최종적으로 인간이 섭취하기까지의 위해analysis의 실시)
감시(Monitoring)
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Download : [HACCP]_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제도.hwp( 14 )
7. HACCP원칙의 적용순서
- 다양한 자료(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9. HACCP시스템 개요
3. 원칙의 설명
<방통대 영양과건강 >식품에 대한 위생관리 measure(방안) 으로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HACCP에 마주향하여 나타내시오
원칙 1.
설명
![[HACCP]_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제도-6137_05_.gif](/prev/201104/%5BHACCP%5D_%EC%9C%84%ED%95%B4%EC%9A%94%EC%86%8C%EC%A4%91%EC%A0%90%EA%B4%80%EB%A6%AC%EA%B8%B0%EC%A4%80%EC%A0%9C%EB%8F%84-6137_01_.gif../prev/201104/%5BHACCP%5D_%EC%9C%84%ED%95%B4%EC%9A%94%EC%86%8C%EC%A4%91%EC%A0%90%EA%B4%80%EB%A6%AC%EA%B8%B0%EC%A4%80%EC%A0%9C%EB%8F%84-6137_02_.gif../prev/201104/%5BHACCP%5D_%EC%9C%84%ED%95%B4%EC%9A%94%EC%86%8C%EC%A4%91%EC%A0%90%EA%B4%80%EB%A6%AC%EA%B8%B0%EC%A4%80%EC%A0%9C%EB%8F%84-6137_03_.gif../prev/201104/%5BHACCP%5D_%EC%9C%84%ED%95%B4%EC%9A%94%EC%86%8C%EC%A4%91%EC%A0%90%EA%B4%80%EB%A6%AC%EA%B8%B0%EC%A4%80%EC%A0%9C%EB%8F%84-6137_04_.gif../prev/201104/%5BHACCP%5D_%EC%9C%84%ED%95%B4%EC%9A%94%EC%86%8C%EC%A4%91%EC%A0%90%EA%B4%80%EB%A6%AC%EA%B8%B0%EC%A4%80%EC%A0%9C%EB%8F%84-6137_05_.gif)
1. HACCP의 definition
4. 우리나라의 HACCP 제도 적용현황
위해analysis(Hazard Analysis)
김정원(2000), 최근에 문제시되는 식중독과 세균성 이질의 특징, 발생상황 및 그 대책, 營養士 교육자료(資料)집, 대한營養士회, pp.9∼14.
11. 낙농농가에서의 HACCP실행
식품생산에서의 각 공정별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해를 모두 파악하고, 예측할 수 있는 위험도를 analysis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