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법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3 13:52
본문
Download :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법적 검토.hwp
2) 청구권의 요건
손해배상청구의 요건으로는 ⅰ) 행위자의 고의 또는 과실, ⅱ) 객관적으로 위법한 영업비밀 침해행위의 존재, ⅲ) 침해행위로 인한 영업상 이익의 손해 발생, ⅳ) 행위와 손해 발생과의 상당인과 관계의 존…(투비컨티뉴드 )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법적 검토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법적 검토 ,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법적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법적 검토
Download :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법적 검토.hwp( 75 )
다. 침해에 의하여 영업비밀성이 상실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손해의 개념(槪念)이 달라질 수 있다 금지청구 등으로 침해에도 불구하고 비밀성을 잃지 않았다면 단순히 매출의 감소분이나 상대방이 얻은 이득액이 산정 기준이 될 수 있지만, 그 비밀성을 잃게 된 경우라면 그와 같은 정보를 독자적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도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에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은 다른 지적재산권과 같이 손해액 추정에 관한 규정(법 제14조의2)을 신설하여, 영업비밀 침해도 다른 부정경쟁행위로 인한 손해액 추정과 똑같은 법리가 적용된다
고의ㆍ과실은 영업비밀 침해행위에 대한 주관적 요건이고, 손해 발생에 대한 요건은 아닐것이다.
2. 세부 내용
1) 청구권자 및 그 상대방
청구권자는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한 영업비밀 침해행위로 영업상 이익이 침해되어 손해를 입은 자(영업비밀 보유자)」이고, 그 상대방은 「고의 또는 과실로 영업비밀 보유자의 영업상 이익을 침해하여 손해를 입힌 자」이다. . 따라서 고의ㆍ과실에 의한 침해행위가 인정되는 이상 그와 상당인과관계 있는 모든 손해가 배상의 범위에 들어간다.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된 세부 사항 및 관련 판례들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영업비밀,침해에,대한,손해배상책임,법적,검토,법학행정,레포트
설명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법적 검토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1. 취지 전반 검토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11조는 침해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하여 영업상 이익을 침해당했을 경우 영업비밀보유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인정하고 있으며, 금지 및 예방청구권과 달리 과실책임주의 원칙을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그 성질에 반하지 않는 한 불법행위에 관한 민법의 규정이 적용된다
영업비밀 침해로 인한 손해액 산정은 다른 지적 소유권 침해보다 어려운 문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