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과사회environment] 프로이드의 정신analysis(분석) 학적 성격theory(이론)과 에릭슨의 심리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5 05:54
본문
Download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 사회학적 성격이론 비교 분석.hwp
1세
2단계(1~3세) : 자율성 대 수치심 또는 회의감(autonomy versus shame and doubt)
아동이 자신의 의지대로 행동하려 할 때 부모는 아동이 사회적으로 적합한 행동을
하도록 훈련하게 된다 만약, 아동이 아직 덜 성숙한 상태에서 외부 통제가 너무 빨리 주어지거나 지나친 과잉보호로 자신이 시험할 기회를 상실한다면, 아동은 자신의 통제의 미약함과 외부 압력자를 조절할 수 없는 무능력으로 심한 수치심과 회의감을 갖게 된다
2단계(anal stage : 2~3세) : 항문기
아동은 자신의 행동의 주체가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서서히 깨닫게 된다 스스로 걷게 되는 시기이므로 자신의 주위를 혼자서 탐색하게 되고 음식도 자신의 힘으로 먹으려 하는 등 자율성을 획득하게 된다
1.5~2
3
3단계(3~6세) : 주도성 대 죄책감(initiative versus guilt)
언어발달이 급격히 이루어지고 호기심과 신체적 능력이 향…(省略)
Download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 사회학적 성격이론 비교 분석.hwp( 22 )
다.레포트/자연과학
설명
[인간행동과사회environment] 프로이드의 정신analysis(분석) 학적 성격theory(이론)과 에릭슨의 심리 사회학적 성격theory(이론) 비교 analysis(분석)
![[인간행동과사회환경]%20프로이드의%20정신분석학적%20성격이론과%20에릭슨의%20심리%20사회학적%20성격이론%20비교%20분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A%B0%84%ED%96%89%EB%8F%99%EA%B3%BC%EC%82%AC%ED%9A%8C%ED%99%98%EA%B2%BD%5D%20%ED%94%84%EB%A1%9C%EC%9D%B4%EB%93%9C%EC%9D%98%20%EC%A0%95%EC%8B%A0%EB%B6%84%EC%84%9D%ED%95%99%EC%A0%81%20%EC%84%B1%EA%B2%A9%EC%9D%B4%EB%A1%A0%EA%B3%BC%20%EC%97%90%EB%A6%AD%EC%8A%A8%EC%9D%98%20%EC%8B%AC%EB%A6%AC%20%EC%82%AC%ED%9A%8C%ED%95%99%EC%A0%81%20%EC%84%B1%EA%B2%A9%EC%9D%B4%EB%A1%A0%20%EB%B9%84%EA%B5%90%20%EB%B6%84%EC%84%9D_hwp_01.gif)
![[인간행동과사회환경]%20프로이드의%20정신분석학적%20성격이론과%20에릭슨의%20심리%20사회학적%20성격이론%20비교%20분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A%B0%84%ED%96%89%EB%8F%99%EA%B3%BC%EC%82%AC%ED%9A%8C%ED%99%98%EA%B2%BD%5D%20%ED%94%84%EB%A1%9C%EC%9D%B4%EB%93%9C%EC%9D%98%20%EC%A0%95%EC%8B%A0%EB%B6%84%EC%84%9D%ED%95%99%EC%A0%81%20%EC%84%B1%EA%B2%A9%EC%9D%B4%EB%A1%A0%EA%B3%BC%20%EC%97%90%EB%A6%AD%EC%8A%A8%EC%9D%98%20%EC%8B%AC%EB%A6%AC%20%EC%82%AC%ED%9A%8C%ED%95%99%EC%A0%81%20%EC%84%B1%EA%B2%A9%EC%9D%B4%EB%A1%A0%20%EB%B9%84%EA%B5%90%20%EB%B6%84%EC%84%9D_hwp_02.gif)
![[인간행동과사회환경]%20프로이드의%20정신분석학적%20성격이론과%20에릭슨의%20심리%20사회학적%20성격이론%20비교%20분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A%B0%84%ED%96%89%EB%8F%99%EA%B3%BC%EC%82%AC%ED%9A%8C%ED%99%98%EA%B2%BD%5D%20%ED%94%84%EB%A1%9C%EC%9D%B4%EB%93%9C%EC%9D%98%20%EC%A0%95%EC%8B%A0%EB%B6%84%EC%84%9D%ED%95%99%EC%A0%81%20%EC%84%B1%EA%B2%A9%EC%9D%B4%EB%A1%A0%EA%B3%BC%20%EC%97%90%EB%A6%AD%EC%8A%A8%EC%9D%98%20%EC%8B%AC%EB%A6%AC%20%EC%82%AC%ED%9A%8C%ED%95%99%EC%A0%81%20%EC%84%B1%EA%B2%A9%EC%9D%B4%EB%A1%A0%20%EB%B9%84%EA%B5%90%20%EB%B6%84%EC%84%9D_hwp_03.gif)
![[인간행동과사회환경]%20프로이드의%20정신분석학적%20성격이론과%20에릭슨의%20심리%20사회학적%20성격이론%20비교%20분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A%B0%84%ED%96%89%EB%8F%99%EA%B3%BC%EC%82%AC%ED%9A%8C%ED%99%98%EA%B2%BD%5D%20%ED%94%84%EB%A1%9C%EC%9D%B4%EB%93%9C%EC%9D%98%20%EC%A0%95%EC%8B%A0%EB%B6%84%EC%84%9D%ED%95%99%EC%A0%81%20%EC%84%B1%EA%B2%A9%EC%9D%B4%EB%A1%A0%EA%B3%BC%20%EC%97%90%EB%A6%AD%EC%8A%A8%EC%9D%98%20%EC%8B%AC%EB%A6%AC%20%EC%82%AC%ED%9A%8C%ED%95%99%EC%A0%81%20%EC%84%B1%EA%B2%A9%EC%9D%B4%EB%A1%A0%20%EB%B9%84%EA%B5%90%20%EB%B6%84%EC%84%9D_hwp_04.gif)
![[인간행동과사회환경]%20프로이드의%20정신분석학적%20성격이론과%20에릭슨의%20심리%20사회학적%20성격이론%20비교%20분석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A%B0%84%ED%96%89%EB%8F%99%EA%B3%BC%EC%82%AC%ED%9A%8C%ED%99%98%EA%B2%BD%5D%20%ED%94%84%EB%A1%9C%EC%9D%B4%EB%93%9C%EC%9D%98%20%EC%A0%95%EC%8B%A0%EB%B6%84%EC%84%9D%ED%95%99%EC%A0%81%20%EC%84%B1%EA%B2%A9%EC%9D%B4%EB%A1%A0%EA%B3%BC%20%EC%97%90%EB%A6%AD%EC%8A%A8%EC%9D%98%20%EC%8B%AC%EB%A6%AC%20%EC%82%AC%ED%9A%8C%ED%95%99%EC%A0%81%20%EC%84%B1%EA%B2%A9%EC%9D%B4%EB%A1%A0%20%EB%B9%84%EA%B5%90%20%EB%B6%84%EC%84%9D_hwp_05.gif)
[인간행동과사회environment] 프로이드의 정신analysis(분석) 학적 성격theory(이론)과 에릭슨의 심리 사회학적 성격theory(이론) 비교 analysis(분석)
순서
[인간행동과사회환경]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 사회학적 성격이론 비교 분석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 사회학적 성격이론 비교 분석자연과학레포트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 사회학적 성격이론 비교 분석
[인간행동과사회환경],프로이드의,정신분석학적,성격이론과,에릭슨의,심리,사회학적,성격이론,비교,분석,자연과학,레포트
프로이드의 정신analysis학적 성격理論(이론)과 에릭슨의 심리 사회학적 성격理論(이론) ?
1. 프로이드 정신analysis학 理論(이론)과 에릭슨 심히사회학적 발달단계 비교
프로이드
연령
에릭슨
1단계(Oral stage : 0~1세) : 구강기
? 영아는 자신을 돌봐주는 사람(어머니)이 자신의 욕구(생리적 욕구와 심리적 욕구)를 잘 충족시켜 주면 신뢰감을 형성하게 되고 잘 충족시켜주지 못하면 불신감을 갖게 된다
출생
1단계 (0~1세) :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basic trust versus mistrust)
이 단계에서 형성된 신뢰감이 다른 사태나 행동에 계속 연결되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이 단계를 人生(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로 보았고, 이 시기에 형성된 기본적 신뢰감은 장차의 모든 사회적 관계에서 결정적인 effect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긍정적인 성격발달을 위해서 불신감보다는 기본적 신뢰감을 더 많이 경험해야 하나 인간의 참된 성장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불신감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