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의 국어 사용 實態와 improvement 대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8 21:42
본문
Download : 신문의 국어 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hwp
Japan말에는 Japan 고유의 말과 Japan식 한자말 그리고 서양말을 Japan식으로 변조한 말 등이 있다아 이제 고유한 Japan말을 보도에 사용하는 언론기관은 없다. 그러나 Japan식 한자말은 신문과 방송 곳곳에서 넘쳐나고 있다고 한다.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신문의 국어 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hwp( 98 )
신문의 국어 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에 대한 글입니다. ‘수순’, ‘신병’, ‘인도’, ‘입장’, ‘축제’, ‘납득’, ‘옥내’, ‘옥외’, ‘세면’, ‘천정’, ‘하차장’, ‘상담’, ‘거래선’, ‘승합차’, ‘수속’, ‘취입’, ‘조기○○’, ‘수취인’, ‘입구’, ‘할증금’, ‘치환’, ‘일응’, ‘담합’, ‘하자’, ‘은닉’…(To be continued )
신문의국어사용實態와
신문의 국어 사용 實態와 improvement 대책
신문의 국어 사용 實態와 improvement 대책에 대한 글입니다. 결국 ‘아기’, ‘말’, ‘옷’, ‘집’, ‘일어난다’, ‘싸운다’와 같은 우리말들을 ‘유아’, ‘언어’, ‘의복’, ‘가옥’, ‘발발한다’, ‘투쟁한다’와 같은 한자말들이 “잡아먹었다”는 것이다. 첫째, 언론은 우리말로 표현할 수 있는 것도 “공연히” 또는 “그렇게 해야 좋을 것 같아서” 한자말로 보도한다고 비판했다.신문의국어사용실태와 , 신문의 국어 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I. 문제제기
II. 문제 보도언어
1. 우리말의 정체성을 해치는 언어
2. 사고방식을 불건전하게 만드는 언어
3. 일상 언어에서 벗어난 언어
III. 신문사별, 지면별 문제언어 사용 reality(실태) 비교analysis(분석)
1. analysis(분석) 대상
2. analysis(분석) 단위
3. analysis(분석) 절차
4. analysis(분석) 결과
IV. 개선방법
1. 바른 보도 언어 정립의 必要性
2. 제안 사항
V. 結論(결론) :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
II. 문제 보도언어
1. 우리말의 정체성을 해치는 언어
1) 외래어 : china(중국) 말, 서양말, Japan한자말
흔히 외래어 하면 서양말을 연상하지만 이오덕(1996, 1997)은 우리말 체계를 혼란시킨 주범으로 “china(중국) 글자말,” “서양말,” 그리고 “Japan말”을 들었다. ‘청소’를 ‘소제’라 하고, ‘물에 들어가는 것’을 ‘입수’라 하며, ‘서로’를 ‘피아간에’라 한다.
둘째, 이오덕은 “서양말 홍수가 졌다”고 표현할 정도로 우리 사회에 서양 외래어가 넘쳐난다고 하였다.






다. 게다가 ‘的’, ‘化’, ‘性’, ‘下’, ‘感’, ‘視’, ‘上’, ‘梩’, ‘再’, ‘諸’, ‘未’ 등과 같은 한자 접두어와 접미어가 판을 친다고 비판하였다.
셋째, 보도언어 속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Japan말과 Japan 문법 그리고 Japan식 표현이 우리말을 병들게 하고 있다고 한다. ‘오락’, ‘예비교육’, ‘심상’, ‘등단’, ‘갈래’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을 ‘레크리에이션’, ‘오리엔테이션’, ‘이미지’, ‘데뷔’, ‘장르’ 등으로 쓰는 것은 문제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