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theory(이론)과 그 교육적 시사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30 06:23
본문
Download :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hwp
그리고 새로운 지능검사의 개발은 기존의 지능검사득점과 높은 상관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 이런 경향은 종래의 지능 개념이 주로 학교 상황에서 요구되는 논리력, 기억력, 언어력 등의 인지 능력만을 강조하고, 학교 밖의 현실 세계에서 가치 있게 여겨지는 다른 능력들을 무시한 것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따
설명
다중지능이론,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적 시사점, 가드너, 다중지능
1. Gardner의 지능의 개념
② 대부분의 사람은 상당히 높은 수준까지 각 지능을 발달시킬 수 있따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theory(이론)을 설명(explanation)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해보시오.
전통적으로 지능은 학업의 성취도를 예언하는 준거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18세기부터 과학의 관심 영역이 되면서 지능의 개념이 18세기(재능), 19세기(일종의 학습 능력), 1920년대(세상에 대한 이해 능력), 1960년대(정보처리과정)를 기점으로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Gardner는 지능의 내용과 적용에 이르기까지의 타당성의 문제를 특히 중시하고 있따 그가 최근에 제시하고 있는 지능의 개념에 문제해결력 외에 창조력을 포함시킨 점도 주목할 만 하다.
오래 전부터 사람들은 인간의 지적 능력을 높이 평가하고 그에 따른 많은 관심을 가져 욌다.
순서
6. 지능의 측정(測定)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理論(이론)과 그 교육적 시사점
2. 다중지능 理論(이론)의 기본 가정
Ⅱ.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理論(이론)
7. 다중지능理論(이론)의 핵심
가드너(Howard Gardner, 1983, 1993)는 과거의 여러 지능 연구들이 모두 일차원적 관점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인간의 지적 능력을 제대로 說明(설명) 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주장하고 보다 다원적 측면에서 지능을 파악하여 내 세운 지능 理論(이론)이 다지능 理論(이론)(multiple intelligence, 우리 나라에서는 다중지능, 복합지능으로 번역되어 왔으나, 이 글에서는 다지능으로 번역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지능에 대한 기존의 틀을 벗어나기 힘들 것이다. 이 理論(이론)은 자연히 지능 개념을 협소한 학업 적성에서 벗어나 개인이 처한 상황 속에서 발휘되는 정신의 개념으로 이해하여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Gardner(1993a)는 우선 지능을 큼직하게 7개로 제시하였다.
교육심리학
4.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의 요소
본 해결해야할문제에서는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理論(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여 보기로 한다.
Ⅳ. 맺으며
1. 교육적 시사점
Gardener는 적절한 격려, 보완, 수업만 주어진다면, 모든 사람이 8가지 기능을 모두 상당히 높은 수준까지 개발할 수 있다고 한다.
3.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의 8가지 기능
2. 다중지능 理論(이론)의 기본 가정
전학과 전학년
5. 다중지능의 발달
Howard Gardner(1993)의 다중지능 理論(이론)은 두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개인이 속한 文化(culture) 의 시각에서 지적 능력을 分析하여 理論(이론)화되었다.
교육심리학 전학과 전학년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Ⅱ.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理論(이론)
Ⅲ. 다중지능理論(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다중지능 理論(이론)의 기본 가정은 ① 모든 사람은 8가지의 지능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8가지 기능은 개인에 따라 독특한 방식으로 기능을 발휘한다. 그러나 1960년대의 정보 과정 심리학의 지능 역시 인간의 독창성을 무시하였고, 종합적인 틀에서 해석하지 못하고 논리-수학적 해결해야할문제만을 중시하였다. 인간의 지능은 서로 독립적이며 다른 여러 유형의 능력들로 구성되지만 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지능의 실제적인 의미를 강조한 점에서 Sterberg와 입장을 같이 하면서 지능을 머릿 속에 집중되어 있는 어떤 것이 아니라 이 세상 바깥에 분배되어 있는 무엇으로 본 점에서 Csikszentmihaly의 주장을 받아들인다.
Download :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hwp( 31 )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theory(이론)과 그 교육적 시사점
● 참고 문헌
Ⅰ. 들어가며
1. Gardner의 지능의 개념
2.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점
%EC%9D%98%20%EB%8B%A4%EC%A4%91%EC%A7%80%EB%8A%A5%EC%9D%B4%EB%A1%A0-8675_01_.jpg)
%EC%9D%98%20%EB%8B%A4%EC%A4%91%EC%A7%80%EB%8A%A5%EC%9D%B4%EB%A1%A0-8675_02_.jpg)
%EC%9D%98%20%EB%8B%A4%EC%A4%91%EC%A7%80%EB%8A%A5%EC%9D%B4%EB%A1%A0-8675_03_.jpg)
%EC%9D%98%20%EB%8B%A4%EC%A4%91%EC%A7%80%EB%8A%A5%EC%9D%B4%EB%A1%A0-8675_04_.jpg)
%EC%9D%98%20%EB%8B%A4%EC%A4%91%EC%A7%80%EB%8A%A5%EC%9D%B4%EB%A1%A0-8675_05_.jpg)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Ⅰ. 들어가며
다. 그가 보기에는 Sternberg의 지능理論(이론)은 언어적이고 논리적인 면이 너무 강조되었고 Guilford는 지능을 지나치게 많은 하위요소로 나누었다. 말하자면 지능은 무엇이냐의 문제보다 어디에서 작용하느냐의 문제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 당시에 지능은 마음, 판단, 영혼, 지식, 정신과 구별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