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기] 전동기 구동방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01 14:50
본문
Download : 전동기 구동방식.hwp
단상유도전동기 - 분상기동형 - (고정자, 회전자, 브레킷, 원심스위치) => 주권선과 보조권선(L연결)인 기동권선을 연결하여 리액턴스차이로 인해 발생한 전류의 위상차를 발생시켜 회전전기장으로 인해 작동
2차저항 기동법 - 비례추이를 이용하여 기동하는 방식이다(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이용)
전전압기동법 - 직입기동(기동시 운전시의 전류에 약6배를 가하여 기동시킴 =>타기쉬움)
교류전동기- 단상유도전동기(분상, 콘덴서, 셰이딩, 반발기동형) => 수백KW급의 소형 전동기
콘덴서기동형 - 인덕터대신 콘덴서를 연결하여 위상차를 발생시켜 작동
회전자에도 3상권선을 달고 각권선에 저항을 연결하여 저항치를 변화시켜 토크를 자유자 재로 변화시킬수 있다
2.단상유도전동기
가전압기동법 - 운전시 △기동으로 운전하지만 기동시 Y결선으로 결선하여 기동 I를 1/3 으로 낮추어 기동하는 방법
3상유도전동기(농형유도전동기, 권선형유도전동기) => 1~1만KW급의 대형 전동기
3.유도전동기
순서
반발기동형
(속도제어 방법 - 주파수, 극수, 전압제어, 여자제어)
셰이딩코일형 - 각각의 고정자 자극의 한쪽 끝에 홈을 파서 돌출극을 만들고 이 돌출부에 셰이팅 코일이라는 구리를 각각 채운다
전동기 분류 - 직류전동기, 교류전동기
다.)
설명
1.교류전동기
전동기, 구동, 방식, 교류, 단상, 유도
1.교류전동기 2.단상유도전동기 3.유도전동기
그리고 출력이 운전시 출력의 75%가 되었을때 원심스위치를 이용하여 보조권선을 분리시킨다. 권선형유도전동기(속도제어 용이, 취급이 어렵고 가격이 높다)
레포트 > 기타
[전동기] 전동기 구동방식
유도전동기 - 농형유도전동기 (속도제어 힘듬, 기동토크 낮음, 가격싸고 견고하고 구조가 쉽다)

Download : 전동기 구동방식.hwp( 60 )
(속도제어 방법 - 2차측에 외부 R을 달아서 슬립을 변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