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 의학물리 - 적외선 체열 검사[Thermography]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2-17 10:57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 의학물리 - 적외선 체열 검사[Thermography].hwp
적외선 체열 검사의 advantage
통증을 객관적으로 측정(測定) 할 수 있는 검사
방사선 위험이 없고, 인체에 전혀 해가 없다
치료 전후의 change(변화)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X-ray나 CT에서 watch할 수 없는 신경통증을 추적할 수 있다
방사선 방식이 아니므로 방사선 노출이 없다.
준비사항
☞검사 전
촬영 12시간 전부터 피부를 자극하는 모든 검사와 치료를 피해야 한다.
신체 각 부위별로 선택 촬영하여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진료의 방향 설정에 도움을 준다.
설명
적외선 체열 검사[Thermography]
적외선 체열 검사란
☞인체표면에서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미세한 적외선을 감지하여 촬영, 동통부위나 질병부위의 미세한 온도change(변화)와 체온change(변화)를 컴퓨터 그래픽화해 통증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으로 감지기가 인체 표면의 온도change(변화)를 watch함으로써 천연색 영상으로 나타내주는 비 침투성 검사방법이다.
유방암의 초기 진단 검사법으로 유용하다.
약을 복용 중인 경우 중지한다 (치료제인 경우는 주치의와 상의)
☞검사 시 주의 점
…(To be continued )
레포트/의약보건
의학,약학,의학물리,적외선,체열,검사,Thermography,의약보건,레포트
[의학,약학] 의학물리 - 적외선 체열 검사[Thermography]
![[의학,약학]%20의학물리%20-%20%20적외선%20체열%20검사[Thermography]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C%9D%98%ED%95%99%EB%AC%BC%EB%A6%AC%20-%20%20%EC%A0%81%EC%99%B8%EC%84%A0%20%EC%B2%B4%EC%97%B4%20%EA%B2%80%EC%82%AC%5BThermography%5D_hwp_01.gif)
![[의학,약학]%20의학물리%20-%20%20적외선%20체열%20검사[Thermography]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C%9D%98%ED%95%99%EB%AC%BC%EB%A6%AC%20-%20%20%EC%A0%81%EC%99%B8%EC%84%A0%20%EC%B2%B4%EC%97%B4%20%EA%B2%80%EC%82%AC%5BThermography%5D_hwp_02.gif)
![[의학,약학]%20의학물리%20-%20%20적외선%20체열%20검사[Thermography]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C%9D%98%ED%95%99%EB%AC%BC%EB%A6%AC%20-%20%20%EC%A0%81%EC%99%B8%EC%84%A0%20%EC%B2%B4%EC%97%B4%20%EA%B2%80%EC%82%AC%5BThermography%5D_hwp_03.gif)
[의학,약학] 의학물리 - 적외선 체열 검사[Thermography]
[의학,약학] 의학물리 - 적외선 체열 검사[Thermography] , [의학,약학] 의학물리 - 적외선 체열 검사[Thermography]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 의학물리 적외선 체열 검사 Thermography
Download : [의학,약학] 의학물리 - 적외선 체열 검사[Thermography].hwp( 12 )
순서
다.
적외선 체열 검사의 원리
☞신체의 비정상적인 성장은 보통과는 달리 현저히 높은 신진대사를 나타내는데 역시 인체의 혈관이나 신경계통의 이상이 발생 시에도 피부의 민감한 온도change(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적외선 체열 검사의 열 그래프는 이와 같은 인체의 이상체온을 감지하여 비 침투방식, 고감도의 화면구성으로 정확하게 비정상부위를 찾아서 영상으로 나타낸다.
인체에 무해한 적외선을 이용하며 통증이 없다.
인체 내의 신경학적(생리학적)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따
비뇨생식계의 이상 유무에 높은 진단율을 보인다.
히스테리 신경성(특히 가병, Malingering을 정확히 진단)을 실제 통증과 구별이 가능
하다.
수술 전 후에 비교하여 신경 근의 이상영역을 계속 추적이 가능하다.
3D-HISTORGRAM으로 신경의 경로를 통한 통증 진단 가능하다.